•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산업단지 내 '콜센터' 입주가능…관련업계 '환영' 검토 활발

지식산업 7개 중 포함…제조·서비스 융복합 활성화 기대

김상준 기자 | sisan@newsprime.co.kr | 2015.07.30 16:07:24

[프라임경제] 산업단지 내 콜센터 기업들의 입주가 가능해졌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이하 산업부)는 30일 산업 간 융합을 활성화하고 입주업종의 고도화를 촉진하기 위해 산업시설구역 내에 입주 가능한 지식산업의 종류를 20종에서 27종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기존 산업단지에 입주 가능한 서비스업은 지식산업(20종), 정보통신산업(5종), 기타 제조업 연관업종(12종) 등 총 37개 업종이다.

확대된 지식산업 업종은 △광고대행업 △옥외 및 전시광고업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사업시설 유지관리 서비스업 △보안시스템 서비스업 △콜센터 및 텔레마케팅 서비스업 △온라인 교육학원 등 7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공장 신·증설 및 산업단지 활성화를 위해 규제는 다운시키고 지원은 업시켜 산업단지에 활력을 불어 넣을 방침이다. ⓒ 산업통상자원부

확대업종에 콜센터가 포함되면서 10월 시행령 개정을 앞두고 관련업계를 비롯한 유관기관들의 산업단지 입주 검토가 활발해 질 것으로 보인다.

콜센터 업종은 '굴뚝 없는 산업'으로 기업에서는 '첨병' 역할을, 지자체에서는 '일자리 창출' 효자로 각광을 받고 있다.

프라임경제에서 발행한 '2015컨택센터 산업총람'에 따르면 콜센터 업종은 종사자수 37만4138명, 매출액 20조3551억원에 이르는 산업으로 매년 30% 이상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현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고용률 70% 달성'과 '경력단절 여성 적합업종'은 물론 고도화된 IT가 꼭 필요한 업종으로 IT와 융합서비스업 위주로 입주를 허용한 방침에 부합된다.

산업단지하면 딱딱한 남성적인 이미지에서 90% 이상이 여성인력으로 구성된 업종이 입주함으로써 부드러운 이미지가 정착될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콜센터업종의 기업들이 산업단지에 입주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지식경제부 시절 지식산업들의 입주가 허용될 때도 지원업무로 분류돼 실질적으로 입주가 불가능 했던 게 사실이다. 콜센터 및 텔레마케팅 서비스업은 지원시설에 한해 입주가 가능했지만 건물의 전체 면적 중 지원시설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어 현실성이 없었던 것이다.

박근혜 정부 들어 '창조경제', '규제개혁', '창의와 융합'을 심심찮게 들어왔다. 이번 조치로 제조업 연계효과가 높은 서비스업, 융복합 유망업종 등의 입주가 추가 허용됨에 따라 '창의와 융합'의 성공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는 앞으로도 네거티브 규제방식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산단 업종규제의 전반적인 개선 방안도 올해 안에 마련할 방침이다.

지식산업 업종에 콜센터가 포함되면서 산업단지 내 콜센터 입주가 가능해짐에 따라 콜센터 확장이나 이전을 검토했던 기업들의 행보가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 프라임경제

산업부 관계자는 "저렴한 분양가, 세제감면 등의 혜택이 주어지는 산업단지와 지식산업센터에는 산업의 집적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제조업 또는 제조업 지원 서비스업 위주로 입주가 허용돼왔다"며 "그러나 최근 현장에서 콜센터 등의 입주요청이 새롭게 증가함에 따라 고용 창출과 기업경쟁력 강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융·복합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돼 업종을 허용하게 됐다"고 말했다.

단 "대부업체 및 다단계판매 등의 악용으로 유해성 우려가 큰 '통신판매업’은 제외했다"고 덧붙였다.

입주를 검토했던 업체 관계자는 이번 입주업종 허용을 환영하면서 "콜센터의 특성상 IT, 전력공급 원활과 같은 기반시설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산업단지 내 입주를 희망하는 기업이 늘었던 게 사실이다"며 "단지 내 건물은 부대시설을 비롯해 층고가 높고 한 층에서 수용 가능한 인력이 많음에 따라 관리비용의 절감은 물론 상담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환영 이유를 밝혔다.

산업단지 내 콜센터 기업 입주가 가능해짐에 따라 콜센터 유치를 적극 추진하고 있는 지자체의 움직임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수도권에 위치한 콜센터가 지역으로 이전할 시 입주 가능 건물을 지원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주로 원도심의 공실을 안내하거나 대규모 평수가 필요한 조건을 맞추기에는 역부족이었던 것이다.

지난해 4월 기준 지식산업센터는 수도권 505곳, 비수도권 127곳으로 전국 총 632곳이 운영 중이다.

이번 조치로 산업단지 건물이 추가로 확보되면서 좀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하고 대규모 콜센터 유치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윤상직 산업부 장관은 "산업단지 운영 활성화 및 공장설립 인허가 절차개선 방안의 과제가 조기에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며 "사회경제적 파장이 크고 추가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한 규제개선 과제의 경우 앞으로 폭넓은 의견수렴과 보완책 마련을 거쳐 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현장 중심의 산업단지 활성화 대책은 2개 분야 6개 과제 개선 위주로 추진됐다. 공장 신·증설 및 산업단지 활성화를 위해 △지식산업 중심의 산업단지 입주 업종확대 △산업단지 내 복합구역 지정 활성화 △산업용지 처분제한 완화 △공장설립 지원시스템 확충 등이 주요 과제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