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칼럼] 조직을 존폐위기로 몰고 간 비윤리경영

 

박종선 세종교육원 원장 | tms3771@naver.com | 2017.04.28 09:06:28
[프라임경제] 한 직장에서 정년을 마치고 그만두는 사람이 100명 가운데 8명이 채 안 된다는 보도다. 비록 정년퇴직은 아니더라도 개인이 아닌 비자발적 사유로 중도 퇴직할 수밖에 없는 경우 해당 직장인의 심경을 떠올리면 안타깝기만 하다. 

그러나 경영구조 개선이 필요하고 도산위기에 처한 기업들이 흔히 이용하는 해고 회피수단이 다름 아닌 희망퇴직이나 명예퇴직이다. 본인의 자발적 의사에 따른다고는 하나 실제로 회사사정에 따라 규모와 요건을 정해 반강제적으로 추진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경영위기 원인이 경기흐름이나 수급구조 변화에 적절히 대응치 못한 경영전반의 실패유형이거나 아니면 조직 일부, 몇 사람의 비윤리적 행위, CSR관점에서의 실패유형이든 기업은 위기타개를 위해 사업활동, 인력이나 조직구조를 개선할 수밖에 없다. 생존을 위해 전사적으로 고통을 분담하는 갱생노력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CSR유형의 부정비리 문제는 전사적으로 획일적인 개선책을 추진하기 어렵게 만든다. 내·외적으로도 많은 이해관계자가 얽혀있는 믿음·신뢰의 상실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특히 내부 이해관계자인 임직원을 대상으로 인건비 감축이나 희망퇴직이 강제 된다면 조직원의 사기는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네 탓, 내 탓 책임공방이 일고 조직분위기는 어수선하기 마련이다. 

더욱이 비윤리적 행위, 불법행위를 지시한 경우 비록 그것이 조직을 위해서 했다 할지라도 개인에 귀속되는 책임 회피를 위해 변명과 전가, 은폐와 거짓말을 일삼게 된다. 그러다 보니 조직원간 신뢰 기반은 흔들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기업윤리에서 추구하는 가치관, 높은 신뢰를 받고 있는 몇 가지 공통적 기본원칙의 하나는 경영책임과 윤리책임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비윤리 행위에 대해 윤리성이 높은 조직의 책임문제는 집단보다도 개인 스스로가 책임지는 의무를 지닌다는 점이다. 

외부 이해관계자인 고객과 시민, 여론의 눈은 더욱 차가워 조직의 사회적 위상과 생존가능성을 가늠하기 어렵게 한다. 신뢰할 수 없다고 낙인찍힌 조직은 사회와 이해관계자의 저항을 받고 경쟁에 밀려 존속자체가 불투명하거나 개혁을 요구받기 마련이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와중에서 여론의 지탄을 받은 전경련이 존폐 위기에 놓여 있다. 부정부패, 정경유착의 고리라는 이미지를 벗고 신뢰 회복을 위해 개혁하고 있으나 이해관계자의 기대와는 거리가 꽤 있는 것 같다. 

고객 회원사의 주축을 이뤘던 4대 그룹 포함 100여개 대기업의 탈퇴로 재정난이 심화되고, 구조조정과 인건비 감축, 희망퇴직이라는 어려움에 부딪히고 있다. 조직 내 공감대 형성이 부족하고, 경영진의 판단오류로 직원들이 희망퇴직 대상자로 몰렸다는 푸념이 적지 않다고 언론은 보도한다. 

오늘날 기업윤리, 기업시민, 사회적 책임경영이 강조되고 있는 환경에서 유능한 경영자가 되는 필요한 자질이 무엇일까. 

윤리적 행동과 건전한 판단력이 많이 거론되는데 이는 윤리적 리더십을 강조하는 말이다. 최고 경영자를 포함한 경영진의 높은 윤리적 실천력이 중요하다는 것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그동안 우리가 경험한 경영자들의 윤리적 실패사례는 이들의 무능력이라기보다 윤리적 사고력의 결함으로 실천 없는 구호경영에 기인한 바 크다. 

그러나 좋던 싫던 잊지 말아야 할 것은 기업이나 단체, 기관들의 모든 활동과 성과는 실제로 법, 사회적 가치와 같은 윤리적 기준에 의해 평가된다는 점이다. 

이를 간과할 경우 사회적 관심이나 현안을 다루는 의사결정에서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크고, 급기야 조직 존망에까지 이르는 위협을 초래하게 된다. 전경련 사례가 주는 뼈아픈 교훈이라 하겠다. 
박종선 세종교육원 원장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