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기자수첩] 낙동강 오리알? 대형마트 '중규직'의 설움

 

백유진 기자 | byj@newsprime.co.kr | 2017.06.13 16:40:24

[프라임경제]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대다수의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했고 또 매년 1만명 이상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말한 것은 거짓이다."

이는 민주노총 이마트노조가 지난 5일 서울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 중 내놓은 발언이다. 이마트는 지난 2007년부터 비정규직 철폐를 공언하지만, 현장에서는 2만명에 가까운 인력이 무기계약직으로 차별적 대우를 받고 있다는 것.

이마트는 2007년 점포 계산원 4223명, 2013년에는 판매용역사원 1만772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한 바 있다. 대대적인 정규직 전환이 이뤄졌지만 이들은 일반 정규직이 아닌 무기계약직으로 분류됐다.

13일 노조에 따르면 이마트 전체 2만9000여명의 직영사원 중 2만명가량은 무기계약직, 일명 '중규직'이다. 기존 비정규직에 비해 계약 기간의 안정성이 높아진 대신 임금과 승진에 대한 처우는 정규직과는 달라 붙여진 이름이다.

이들은 최저임금을 약간 웃도는 수준의 임금을 받을 뿐만 아니라 장기 근무자라 할지라도 임금 인상도 거의 불가능하다.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승진의 기회도 없다.

이러한 논란에 대해 이마트가 억울한 면도 없지는 않다. 국내 대형마트 중에서는 이마트가 가장 선도적으로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왔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롯데마트의 경우 전체 근로자의 69.6%가 단시간 근로자며, 홈플러스 역시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노동계에서는 이마트가 대형마트 업계 1위로 업계를 선도하는 만큼 좋은 선례를 만들어주길 기대하고 있다.

또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비정규직 격차 해소로 질 나쁜 일자리를 좋은 일자리로 전환하겠다"고 공표하며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를 선언한 만큼, 민간 기업도 정부의 정책에 보조를 맞춰야 할 필요성도 거론된다.

이처럼 일자리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계속되자 업계 근로자들 사이에서는 '말만 정규직'이 아닌 실제 근로자 처우를 개선해달라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번 이마트 노조 역시 이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유통업계의 저성장이 계속되는 와중에 모든 직원을 정규직화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우려도 나온다. 인건비 부담이 커지면서 수익성이 더욱 악화될 수 있기 때문.

그러나 '버는 만큼 일한다'는 말처럼 대형마트 노동자들의 근무 여건이 개선되면 서비스의 질도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하루하루 감정노동에 시달리는 서비스직에게도 합당한 대우가 필요한 이유다.

중규직 근로자들은 비정규직으로 구분되던 이전과 비교했을 때 아직까지도 처우나 여건 등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단순 일자리가 아니라 '질 좋은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 혹시 아나. 이것이 저성장의 탈출구가 될 수 있을지.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