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기자수첩] 전기차 배터리, 기술력보다 자원 확보가 더 시급

 

전혜인 기자 | jhi@newsprime.co.kr | 2017.09.13 16:35:44

[프라임경제] 최근 SK이노베이션과 LG화학 등 배터리업계는 '더 안전하고 더 오래 가는' 배터리를 생산하기 위해 기술 개발에 한창이다.

최근 업계는 양극재 내 니켈의 함량을 60%에서 80%로 높이고 코발트와 망간 비중을 10%씩으로 줄인 중대형전지 양산을 시사한 바 있다. 니켈 함량이 높아지면 배터리 내 밀도가 올라가는 만큼 1회 충전당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업계에서 니켈 함량을 점차 높이는 진짜 이유는 천정부지로 상승 중인 코발트 가격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코발트 가격은 지난해 이맘때 톤당 2만6500달러였으나 현재는 약 2.5배 상승한 6만달러 이상에 거래되고 있다. 전 세계 코발트 생산의 60% 이상을 담당하는 중앙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DR콩고)가 최근 내전 등으로 코발트 채굴량이 급격히 줄어든 까닭이다. 또 다른 핵심 원재료인 리튬 역시 상황은 다르지 않다.

이에 따라 배터리업계는 니켈 비중을 높여 수익성과 주행거리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전략이었으나 그 역시 녹록지 않다. 한국자원광물공사에 따르면 니켈 가격은 지난 6월 평균 톤당 8988달러에서 3분기 이후 현재 1만1974달러로 약 25% 이상 올랐다.

비록 당장 단기 실적과 물량 공급에는 타격이 없을 것으로 관측되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문제는 수입처 다변화와 장기계약 등 현재까지 배터리업계가 사용해온 전략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동안은 자원개발에 투자하는 것보다 그냥 채굴된 광물을 사오는 것이 더 싸게 먹혔지만 이제는 그럴 수 없다는 지적이다.

배터리업계의 최대 경쟁자인 중국과 일본의 경우 이미 정부와 기업들이 해외자원 확보에 적극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다. 최근 삼성SDI가 칠레 정부가 주도하는 리튬개발 사업 입찰에 참가해 1차 심사를 통과했으나 경쟁자 중 절반 이상이 중국 기업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정치적인 문제로 기업들이 해외 자원개발 투자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한다. 이명박 정부 시절 해외자원개발에 대해 국가적 사업으로 힘을 실었으나 당시 광물 가격이 폭락하고 비리 사건 등에 말려 얼룩까지 지면서 자원개발사업 자체가 비리사업인 것처럼 비춰진 영향이 크다는 것.

실제로 이명박 정부 이후 이렇다 할 자원개발 정책이나 지원이 나오지 않고 있는 것 역시 기업들의 소극적인 행보를 보이는 이유 중 하나다.

우리 정부와 기업들이 정권에 따라 바뀌는 정책으로 투자에 소홀했던 사이 경쟁국들은 성장을 위한 안정적인 발판을 마련했다. 절대적으로 자원이 부족한 '자원빈국'인 우리나라가 향후 더욱 치열해질 자원 전쟁에서 승기를 잡으려면 기업의 노력과 정부의 아낌없는 지원이 동반돼야 할 것이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