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바이오칼럼] 농진청 GM작물 개발사업단 해체 '유감'

 

김호일 前 농업생명공학연구원 원장 | press@newsprime.co.kr | 2017.09.19 18:10:54

[프라임경제] 농촌진흥청에서 GM작물 상용화 중단과 GM 작물개발 사업단을 해체하기로 시민단체와 협약을 맺었다는 소식을 듣고 과거에 GMO연구에 종사했던 한사람으로서 경악을 금치 못하는 바이다.

국가 연구기관이 소수 비전문가들의 반대에 굴복해서 미래의 먹을거리 연구인 GM작물의 상용화를 중단하고 연구 사업단마저 해체한다니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정말 한심할 따름이다. 더욱더 가관인 것은 안전검사 연구와 향후 필요에 따라 GM 작물 개발을 위한 연구는 계속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대학이나 기업에서 하는 연구와 상용화는 지속된다고 한다. 이 무슨 해괴한 논리인가.

작금에 벌어지는 소수 비전문가들에 의한 GMO 반대는 과학적인 진실을 외면한 일방적인 주장임이 이미 전 세계적으로 전문가들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일부 반대론자나 이에 동조하는 학자들이 주장하는 근거 논문은 모두 실험상의 오류가 있거나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 이미 명확하게 밝혀졌으며 일부논문은 철회된 바도 있다.

이렇게 과학적인 사실이 드러나게 되자 이제는 아예 연구자체를 부정하거나 반대하는 현상이 국내에서 일어나고 있다. 그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GM작물의 꽃가루가 날아가서 다른 작물이나 잡초하고 자연교잡이 일어나서 변종이 생긴다며 포장실험을 반대한단다.

GM 관련 연구는 물론 GM작물의 시험재배도 GMO안전관리규정에 의해서 꽃가루 비산거리를 감안한 격리포장에서 실험을 하도록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주위에 꽃가루가 날아가서 기존 농작물에 어떤 피해가 간다는 것은 과민반응이다.

지금 현재 전 세계적으로 품종개량을 위한 연구가 경쟁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유전자 가위, 즉 유전자 교정기술까지 개발돼 작물개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래의 먹을거리를 책임질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장려하기는 커녕 여러 가지 비과학적인 이유를 들어 연구자체도 못하게 하는 현실이 개탄스럽다.

더욱이 국가 연구기관이 이에 굴복하여 어떠한 명분도 없이 막대한 연구비를 들여 지금까지 해온 연구를 중지한다는 것은 국가적으로 큰 손실일 뿐만 아니라 앞으로 어떤 선도적인 연구도 일부가 반대하면 할 수 없다는 나쁜 선례를 남기게 될 것이다.

국가기관의 첨단연구가 비전문가집단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면 연구에 종사하는 수많은 과학자들과 연구기관은 허수아비인가 묻고 싶다. 더욱이 농촌진흥청은 GMO 반대시민단체와는 1년 사이에 일곱 차례나 만났다고 했는데 정작 관련 과학자들과는 몇 번이나 소통했는지 궁금하다.

자칫 농업기술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얻게 될지 모를 중차대한 결정에 대한 농진청의 일방적인 소통스타일에 심히 유감을 표한다.

처음 교배육종이 시작될 때 자연생태계 및 환경을 파괴한다느니 신의 섭리를 거스리느니 하는 반대론자들이 많았다. 그러나 교배육종에 의한 혜택을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지 않는가.

그들의 반대에 굴복해 교배육종 연구가 중지됐다면 지금 우리가 무엇을 먹고 살고 있을지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결론적으로 GMO 연구는 우리의 미래의 먹을거리를 책임질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졌다. 일부의 반대에 굴복해 우리나라 농업의 장래를 망치는 우를 범해서는 절대 안될 것이다.

김호일 前 농업생명공학연구원 원장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