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보험硏 "보험사, 자금차입 방식 확대해야"

K-ICS 도입에 보험사 금리위험 대비…자급차입 방식 늘려야

김수경 기자 | ksk@newsprime.co.kr | 2017.11.20 09:32:22
[프라임경제] 2021년 새로운 보험회계제도(IFRS17) 시행을 계기로 도입될 신지급여력제도(K-ICS) 때문에 보험사는 자산과 부채의 만기구조 차이(자산·부채 듀레이션 갭) 등에서 발생하는 금리위험관리라는 경영과제에 직면했다. 

20일 보험연구원은 '금리위험관리 수단으로서 자금차입 방식 확대의 필요성'이라는 보고서에서 보험사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금차입 방식을 보다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임준환 선임연구원은 "현행 제도는 보험부채 금리민감도의 잔존만기를 최대 30년으로 한정하기 때문에 경제적 금리민감도에 비해 금리위험을 과소평가한다"며 "새 제도 시행까지 짧은 기간, 제한적인 자본 확충 능력과 자금조달규제 탓에 보험사는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어려움을 타개하는 방안 중에 하나로 그는 보험사가 자금차입 방식 확대를 꼽았다. 선진화된 회계 및 지급여력제도가 도입되는 만큼 보험사의 자본관리, 특히 자금조달구조(만기)도 국제적 정합성에 부합하도록 자금차입 방식이 다양화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황인창 연구원은 "최근 자금차입 관련 규제를 개선해 후순위채, 신종자본증권 발행 등 선제적 자본확충을 용이하게 했다"며 "다만 이러한 자금차입 방식은 금리위험 자체를 관리하는 수단으로는 효과적이지 않다"고 제언했다.

이어 "자금차입 방식을 다양화하면 부채듀레이션 축소와 동시에 자산듀레이션을 확대할 수 있다"며 "보험상품 포트폴리오 조정, 장기채권 매입 등 전통적인 금리위험관리 방식보다 실효적"이라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단기 자금차입을 통해 부채듀레이션을 축소시키고 차입한 자금으로 장기우량채에 투자하면 자산듀레이션이 늘기 때문에 경제적 자산·부채 듀레이션 갭을 줄일 수 있다. 자금차입 방식은 은행 차입, 회사채 발행, 환매조건부채권 매도 등이 있으며 발행 방식에 따라 자금조달 비용은 차이가 있다.

임 연구원은 "자금차입 방식 다양화는 자금차입의 확대로 이어져 보험회사의 채무불이행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가 있지만 시장규율 및 지급여력제도 정교화 등을 통해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아울러 "보험사가 금리위험에 따른 재무건전성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 제도 연착륙을 위한 경과조치뿐만 아니라 가용자본 확충, 전통적 방식을 통한 요구자본 관리 등 다양한 자구적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