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눈먼 블라인드 펀드…증권사들, 요원한 중기 활성화 의지

IBK·유진·신한금투·KB증권 외 활동 부진, 증권사들 "현 제도권 내에서 투자처 찾기 어려워"

백유진 기자 | byj@newsprime.co.kr | 2018.03.08 15:17:49
[프라임경제] 중소기업 지원 활성화를 위해 지난 2016년부터 금융투자업자에게 허용된 신기술사업금융업이 기대한 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하자 실효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중소·벤처기업 투자금융을 활성화해 중소기업의 자본시장 접근성을 높이고자 2016년 4월 금융투자업자와 자산운용사에 신기술사업금융업을 허용했다.

신기술사업금융업은 보유 기술에 비해 자본이 취약한 중소기업에 투자해 수익을 거두는 사업이다. 신기술사업금융업자로 등록되면 기존 사모펀드(PEF) 업무와 별도로 투자조합 결성과 운용이 가능해져 기술력과 잠재력을 가진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융자업무를 할 수 있다.

금융투자업계에 신기술사업금융업이 허용되면서 기존에 불가능했던 여신업무가 가능해지자 2016년 6월 코리아에셋투자증권을 시작으로 올해 1월 키움증권까지 국내 증권사 중 총 17곳이 신기술사업금융업을 등록했다.

그러나 해당 증권사 17곳 중 현재까지 적극적으로 업무를 영위하는 곳은 △IBK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KB증권뿐이었다. 

IBK투자증권의 경우 코리아에셋투자증권에 이어 2016년 8월 금융투자업계 두 번째로 신기술사업금융업 등록 후 11월 15억 규모의 프로젝트펀드인 '아이비케이에스 SSI 신기술투자조합 1호'를 업계 처음 결성했다.

이어 다음 달인 12월에는 업계 최초의 블라인드펀드인 'Value-up 중기특화 솔루션 신기술투자조합 1호'를 90억원 규모로 결성했으며 작년 10월에는 서울산업진흥원과 초기 투자기업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기도 했다.

또 같은 해 11월에는 IBK금융그룹 공동으로 운용하는 'IBK금융그룹 창업기업 일자리창출 투자조합'에 20억원을 출자하고 4년 동안 운용을 맡았다.

KB증권은 지난해 7월 KB인베스트먼트, 12월에는 산은캐피탈과 각각 200억원 규모의 KB신농사직설 투자조합, 300억원 규모 PreIPO투자조합을 공동 조성했다. 아울러 올해 1월에는 270억원 규모 관광산업육성 투자조합을 SJ투자파트너스와 공동으로 결성했다.

신한금융투자는 작년 초 100억원 규모의 신한디스플레이신기술투자조합을 꾸렸으며 현재까지 총 5건의 투자를 성사시켰다. 유진투자증권도 현재까지 프로젝트 신기술투자조합 펀드 5건을 결성한 바 있다.

이런 와중에 지난해 7월 신기술사업금융업을 등록한 NH투자증권은 이와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 증권사 관계자는 "아직 사업 시작 단계인 만큼에 단기적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에는 부족하다"며 "올 상반기에는 정부출자자금을 지원받기 위한 참여 노력과 그에 따른 블라인드 펀드 구성을 준비하고 검토할 예정"이라고 응대했다.

하나금융투자 관계자 역시 "작년 10월에 등록을 마친 뒤 현재 10여개의 업체와 접촉 중"이라며 "아직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 투자가 집행된 곳은 없다"고 언급했다. 

17곳의 증권사 중 가장 늦게 신기술사업금융업 등록을 마친 키움증권 역시 연내 조합을 결성해 투자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외 △한국투자증권 △대신증권 △유안타증권 △현대차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 등도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해 특별한 성과를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새로 신기술금융업에 진출한 만큼 외부 투자를 유치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이와 관련, 업계 한 관계자는 "현 정부가 중소·벤처기업 살리기에 집중하는 만큼 신기술사업금융업 역시 가능성 큰 시장이라고 판단해 진출을 결정했지만, 막상 진입하니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고 쓴소리를 했다.

이어 "정부에서 먹을거리가 있다고 판단한 시장에 인가를 내줘야 하는데, 일단 허가만 내주고 나머지는 알아서 하라는 식이라 어려움이 많을 수밖에 없다"고 현실적인 고충을 토로했다.

증권사의 경우 창업투자회사와 프라이빗에쿼티(PE) 등과 달리 제도적 제약을 많이 받는데다가 네트워크 인력 등이 부족해 사업 활성화가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창업투자회사와 프라이빗에쿼티(PE) 중간에 낀 느낌"이라며 "스타트업 투자는 위험도가 상당히 커 제도권 안의 증권사들은 투자가 쉽지 않고, 담당하는 부서인력이 적다 보니 네트워킹 인맥이 부족하다"고 짚었다.

이런 가운데 신기술사업금융업에 뛰어들지 않은 한 증권사 관계자는 "기존 사업 집중을 위해 등록하지 않았다"면서 "여기에는 실적 부진에 따른 금융감독원의 등록 취소 우려도 고려 대상이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금융감독원 측은 "성과가 부진해 등록을 취소하게 되면 증권사들의 초기 투자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실적이 없다고 해서 라이선스를 뺏거나 하지는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