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우리모두뉴스] 나라에서 보내는 '긴급재난문자'는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고 꼭 봐야해요

아주 작은 일을 긴급재난문자로 보내는 경우는 '실수'였어요

임재덕 기자 | ljd@newsprime.co.kr | 2018.05.09 18:26:21

ⓒ 국민안전처

     

[프라임경제] 급하게 홍수나 지진이 일어나고 사람들에게 피해가 생길 것 같은 위험한 상황을 알려주는 문자가 바로 '긴급재난문자'예요. 

처음 이 문자를 보내는 곳은 우리 국민들의 다양한 안전을 위해 일하는 국가기관인 '행정안전부'(아래에서는 행안부로 줄여서 불러요)예요. 

행안부는 여러가지 많은 재난 상황에 긴급재난문자(CBS)를 보냈었는데, 지난 2017년 말에 문자 보내는 일을 우리나라 각 지역마다 있는 지방자치단체에게 넘겨줬어요.

하지만 이 문자를 제대로 보내지 못하고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어요. 

이유는 너무 작은 일까지 긴급재난문자로 보내졌기 때문인데요, 이런 문자가 자주 오게 되면 국민들이 이 문자메시지를 주의 깊게 살피고 경계하는 마음을 갖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예요. 

예를 들어, 지난 1월31일 경기도 오산시청은 "2월1일부터 오산교통 시내버스가 파업으로 운행하지 않을 예정이니 회사에 오고 갈 때 다른 교통방법을 이용하라"는 내용의 긴급재난문자를 보냈어요.  

문제는 이 일이 행정안전부에 속해 있는 국민안전처가 정한 긴급재난문자를 보내는 기준에 속하지 않을 뿐 아니라 국민들이 긴급하게 알아야 할 재난에 대한 내용이 아니라는 점이에요. 

원래 긴급재난문자를 보내는 기준으로는 태풍, 홍수, 대설, 한파, 강풍, 황사 등 15개 재난 종류와 경계, 공습, 해제경보 등 민방위 관련 내용을 정했어요.

그 어디에도 버스회사의 업무 중단으로 인해 회사를 오고 갈 때 대중교통을 이용하라는 기준은 없어요. 

또 긴급재난문자가 '너무 늦게 도착'했다는 지적도 있었어요. 실제로 지난2016년 경주지진 당시 국민안전처는 4번 기상청의 지진 통보를 받아 메시지 전송지역을 정한 후 긴급재난문자를 보냈으나 지진이 일어난 지 8~9분이 지나고 나서야 문자가 도착했대요.  

또 2017년 5월에는 강릉 삼척에 큰 산불이 났는데, 재난안전시스템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았어요.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이런 문제들에 대해 "긴급재난문자를 보내는 권한을 각 지방자치단체에게 주고 나서 생긴 문제"라며 "중앙에서 한 번에 보내면 통제가 될텐데,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개별적으로 보내다보니 이런 문제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말했어요.

버스회사가 일을 중단하는 것과 같은 작은 문제까지 재난문자로 보내질 경우, 나중에 긴급재난문자에 대해 국민들이 주의 깊게 살피어 조심하는 마음이 사라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에요.

정말 중요한 것은 이런 실수가 많아진다고 해서 정부의 긴급재난문자를 신경쓰지 않고 대충보면 안된다는 것이예요. 문자를 보내는 기관도 제대로 빠르게 문자를 보내려고 노력해야 하고, 국민들도 이 긴급재난문자를 꼭 제대로 챙겨서 봐야지 피해를 줄이고 더욱 안전해 질수 있어요. 


'우리 모두 소중해' 자원봉사 편집위원

이소민(은광여자고등학교 / 3학년 / 19세 / 서울)
조현정(여의도여자고등학교 / 2학년 / 18세 / 서울)
정승연(이화여자고등학교 / 3학년 / 19세 / 서울)


'우리 모두 소중해' 감수위원(샤프에스이 발달장애인 감수팀)

김시훈(샤프에스이 감수위원 / 23세 / 서울)
이광수(샤프에스이 감수위원 / 24세 / 서울)
안태익(샤프에스이 감수위원 / 28세 / 서울)
노경진(샤프에스이 감수위원 / 32세 / 서울)
김태환(샤프에스이 감수위원 / 22세 / 서울)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