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티켓 가격 인상 효과' 2분기 반등 노리는 영화株

CJ CGV 9년 만에 일괄적 티켓 가격 인상…ATP 상승 따른 실적 개선 기대

백유진 기자 | byj@newsprime.co.kr | 2018.04.09 16:14:52
[프라임경제] CJ CGV(079160)가 9년 만에 일괄적 티켓 가격 인상에 나서자 관련주에 대한 긍정적 전망이 나오고 있다.

9일 유가증권시장에서 CJ CGV의 주가는 전일 대비 6.03% 오른 7만5600원에 종가를 적었다.

최근 CJ CGV는 임차료 인상, 관리비 증가, 시설 투자비 부담에 따라 오는 11일부터 영화 관람 가격을 1000원씩 인상키로 했다. 

이에 따라 평일 오후 4시부터 10시까지 스탠다드(Standard) 좌석 기준 9000원이었던 일반 2D영화 관람료는 1만원으로 조정됐다. 금요일을 포함한 주말은 1만원에서 1만1000원으로 올랐다. 더불어 3D, IMAX 등 특별관 가격도 각각 1000원씩 인상됐다.

이러한 일괄적 가격 인상은 지난 2009년 7월 이후 처음이다. 지난 2014년 시간대·좌석대별 가격 다변화 이후로는 4년 만이다.

CJ CGV가 티켓 가격 인상을 결정한 이유는 판관비 증가 때문이다. 작년 기준 CJ CGV의 국내 인건비는 1448억원으로 판관비의 32.5%를 차지했다. 이런 가운데 올해부터 미소지기의 최저임금이 전년 대비 16.4% 인상돼 판관비 부담은 더욱 커졌던 상황.

이에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이번 요금 인상으로 실적 부진 우려를 걷어냄으로써 티켓 가격 인상이 반영된 2분기 후 본격적인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더불어 과거 사례를 비춰봤을 때 티켓 가격 인상은 극장 수요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는 평가다.

황성진 현대차투자증권 연구원은 "과거 요금인상 시기에도 관객 수 및 점유율의 변화가 미미했던 점을 감안하면 이번에도 수요탄력성은 극히 낮을 것"이라며 "가격 인상에 따른 ATP(평균티켓가격)가 9.7% 상승해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1%, 11.7% 증가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성준원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과거 티켓 가격 인상이 수요를 위축시켰다고는 볼 수 없었으며 극장 수요는 오히려 영화 콘텐츠가 훨씬 중요하다"고 진단하면서 "올해 연간 ATP은 6.3% 인상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올해 연간 영업이익도 658억원으로 전년 대비 49.8%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권윤구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올 2분기부터 내년 1분기까지 ATP는 매분기 5% 상승하는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며 "올해 국내 영업이익은 536억원으로 기존 추정치 대비 22.9%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달 25일 개봉하는 '어벤져스:인피니티 워'를 시작으로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들이 대거 개봉하기 전에 가격인상이 이뤄진다는 점도 긍정적"이라고 부연했다.

여기 더해 CJ CGV에 이어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도 관람료 조정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자 영화 관련주들도 긍정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날 코스닥시장에서 4대 영화투자배급사 중 하나인 NEW(160550)의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6.46% 상승한 9400원에 마감했다.

제이콘텐트리(036420)도 영화 관람료 인상에 따른 대표적인 수혜주로 꼽혔다. 이날 제이콘텐트리 종가는 전일 대비 9.55% 뛴 8260원이었다. 제이콘텐트리는 자회사를 통해 메가박스를 운영 중이다.

홍세종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CJ CGV가 최저 임금 인상에 따른 국내 수익성 악화로 영화관람료를 인상했는데, 메가박스 역시 3~6개월의 시차를 두고 인상이 기대된다"며 올해 메가박스 영업이익 추정치를 287억원에서 304억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그는 "직영점에 대한 티켓가격 인상은 약 100억원의 이익 증가가 예상된다"면서 "특히 극장 성수기인 3분기에는 추석 시차 차이에 따른 큰 폭의 관람객 증가와 ATP상승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5% 신장한 219억원의 영업이익이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다만, 참여연대는 영화 티켓 가격 인상에 대해 "영화관 상품의 불합리한 가격, 광고 강제 상영 등 소비자 불만이 높은 문제에 대해서는 개선하지 않고 소비자 부담만 가중시키고 있다"며 "인상 정책을 당장 철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