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6.13경제공약분석⑫] 강원, 남북평화 경제 전초기지 '빅피처' 대결

 

임혜현 기자 | tea@newsprime.co.kr | 2018.06.13 07:10:30
[프라임경제] 오랜 권위주의 정치를 깨고 민주주의가 정착되고 문재인 정부의 노력으로 한반도 평화 기대감이 어느 때보다 높지만, 바꿔 말하면 이제 가장 어려운 먹고 사는 문제가 남았다. 6.13 지방선거 기간 막바지, 이제 다시 16개 광역단체장(행정도시 세종시 제외) 후보들의 경제 관련 공약을 요약한다. 우리 유권자들은 과연 '격양가'를 부를 수 있을까?

한반도 평화 문제로 올해 들어 가장 주목받고 있는 건 강원도라고 할 수 있다. 연초만 해도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도발로 세계적으로 전운이 감돌았다. 하지만 강원도 평창에서 열린 동계올림픽에 북측 선수와 고위층 참관단 등이 전격 참가하면서, 화해 기류가 형성되는 전환점이 됐다.

◆천혜의 자연환경, 하지만 군사 문제로 오롯하게 '묶여 있어'

평창동계올림픽에서 단일팀을 격려하는 우리와 북측 지도자들. ⓒ 뉴스1

이후 우리는 북측과 정상회담을 열었고, 이 성과를 발판삼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싱가포르에서 회동하기에 이르렀다. 물론 싱가포르 회동의 결과에 대해 모호한 성과물에 불과하다는 우려가 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연합훈련 중단을 전격 발표하는 등 안보 불안 요인이 없지 않다는 추가 우려가 생기긴 했으나 전반적으로 한반도 평화 정착 단계가 한층 높아진 건 분명하다는 게 중론이다.

이에 따라 강원도 경제도 훈풍을 만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피어오르고 있다. 강원도는 천혜의 산과 바다를 끼고 있으나, 군사적 대치 상황 때문에 이런 장점은 확실한 장점으로 부각되지 못하고 있다. 결국 개발도 안 되고 관광자원화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으며 굴뚝산업 유치도 안 되는 상황에서 손을 묶은 복싱 선수 같은 어려운 경제 경기를 진행하고 있는 셈이다.

강원도 월정사. ⓒ 뉴스1

경기도 북부 지방 역시 군사적 필요성에 따라 개발이 제한되기는 하나, 강원도처럼 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 등 5대 접경지역의 경제가 크게 위축되는 피해는 비교가 어려울 정도로 막심하다. 

2010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5대 접경지역의 30~40대 취업자 수는 3만여명에서 2만4000여명으로 25%(6000여명) 급감했다. 금강산 관광길이 막히면서 해당 항구 인근 지역주민들이 고통받은 예를 반대해석하면, 북측과의 화해 무드가 높아질 때 강원도 경제 전반에도 해빙이 가능할 정도로 온기가 실릴 것이라는 얘기다.

두 후보의 격돌, 레고랜드와 평화경제 등 논점 풍부

강원도지사에는 두 후보가 나온다. 자유한국당과 더불어민주당이 자존심을 건 대결을 펼치는 구도가 형성돼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민주당에서는 MBC 기자 출신으로 18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최문순 후보를 공천했고, 자한당은  한국관광공사 사장을 역임한 정창수 후보를 대항마로 띄웠다.

강원도가 살 길이 무엇인지에 대한 두 후보의 생각은 같다. 앞으로 평화시대에 러시아 등을 연결하는 문제로 본격 수혜주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평화경제 구상을 반대하는 이는 기본적으로는 없다.

최 후보가 '강원 남북평화경제 사업'을 구상하고, 정 후보는 '강원도의 단계적 남북발전 사업'을 제시했다.

최문순 후보(왼쪽)와 정창수 후보. ⓒ 뉴스1

다른 경제 공약의 면면과 후보의 특징 등을 살펴 보자면, 우선 최 후보는 강원도가 한때 실업률 전국 꼴찌에서 고용률 전국 4위로 껑충 올라선 게 자신의 도정 운영 덕이라고 자평한다.

횡성에 전기자동차 생산 단지를, 영월에 드론 산업 단지를 조성하는 안도 갖고 있다. 각종 신소재·4차 산업혁명 생산단지를 통해 청년 인재를 육성하겠다는 계획. 다만, 레고랜드 문제가 꼬인 게 흠이다.

정 후보는 자신의 노하우를 살려, '강원도관광공사' 설립을 추진하는 한편, 지역특화형 관광벨트화도 추진하겠다는 복안이다. 정 후보는 강원도 관광산업의 경제기여도를 2022년까지 15%로 증가시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강원도 일자리 위원회 및 전담 관리기구를 설립한다는 공약도 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