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증시 박살나도 북한 만나려는 중국, '순망치한'의 정치학

 

임혜현 기자 | tea@newsprime.co.kr | 2018.06.19 18:00:42

[프라임경제] 싱가포르 회동이 잘 끝났지만, 동북아시아 주변의 셈법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미국은 북한과의 정상회담을 잘 치렀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회동 내용에 만족한 듯 한국군과 미국군의 합동군사훈련 중단 문제까지 전격 거론했다. 

백악관이 싱가포르 수확물에 대단히 흡족해 하는 것으로 일단은 보인다.

하지만 중국 등 주변국의 견제 문제로 시야를 넓혀 보면 그렇지만도 않은 것으로 보인다. 중국 역시 싱가포르에서 북한과 마주 앉았던 미국의 성과를 기정사실로 인정하기 보다는, 견제구를 지속적으로 던질 기회를 엿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재차 중국을 방문하는 것이 눈길을 끌 수밖에 없다. 19~20일까지 김 위원장이 중국을 공식 방문한다고 중국 CCTV는 보도했다. 김 위원장의 방중은 지난 3월과 5월에 이어 6월까지 올해에만 벌써 세 번째라 그야말로 빈번하게 드나든다고 볼 수 있고, 이에 대한 해석이 분분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이번 방문은 그가 트럼프 대통령과 싱가포르에서 회담을 가진 후 처음 중국을 다시 찾는 기회다. 따라서 일명 북·중 정상대화의 내용에 더욱 관심이 모아진다. 더 중요한 것은 시진핑 중국 주석의 속내다. 왜 이런 중국에 기대려는 북한의 태도를 수용, 혹은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것일까?

여기서 겹쳐 보아야 할 문제가 바로 경제적 제재다. 지난 15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25%의 대중 관세 부과가 발효될 것이라는 엄포를 놓았다. 시간표는 다음달 6일부터로 거론됐다. 그간 투자했던 첨단 산업 분야가 이제 곧 세계 선두권에 진입할 것이라고 희망에 부푼 중국 정부에 찬물을 끼얹는 백악관의 조치다.

즉 관세를 무기로 일명 '중국 제조 2025' 정책을 주저앉히겠다는 속내를 유감없이 드러낸 것이다. 왜냐 하면 이번 조치로 미국이 중국 기술과 인터넷 제품에 추가 제한을 가해 힘을 빼면, 중국 내부 경제에 불확실성을 대단히 키울 수 있다. 미국 측으로서는 중국에 발을 들여놓았던 투자자들이 동요하는 것도 부가적인 장점인데, 주요 전쟁터는 결국 중국 증시, 상하이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상하이지수가 이른 시간 내에 바닥을 칠 것 같지는 않다는 낙관론도 존재한다.

하지만 실제로 보면 트럼프 대통령에 맞서는 중국의 반격이 대단하다는 것보다는, 중국의 반발에 재차 미국이 보복을 추가로 단행하는 재반박에 더 관심이 모아지는 게 사실이다. 즉, 미국이 500억달러가량의 25% 관세 공격을 선언한 것에 대해 중국이 맞대응으로 똑같이 500억달러어치 즉  25% 관세 폭탄을 거론했다. 하지만 미국은 재차 1000억달러 상당, 10% 관세 폭탄을 검토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연히 상하이지수와 선전지수, 홍콩의 H지수 등이 영향권에 드는 모양새다. 사실 이들 뿐만 아니라 아시아 전반 증시가 함께 영향을 받고 있다.   

중국 정부 역시 상하이지수 3000선을 '마지노선'으로 보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중국증권보' 등 현지 언론도 정부 개입을 예상한 일부 기관 투자자는 A주를 매입할 계획을 적극적으로 세우고 있다는 보도를 내놓는다.

이런 와중에 중국이 북한의 후견인 노릇을 멈추지 않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증시 출렁임 정도로 '대국굴기'의 상징성을 버릴 수 없다는, 문제적 집단인 북한을 제어할 유익한 상황적 기회를 미국에 통째로 양보하지는 않겠다는 것일까? 

체면 이상으로 실리를 놓치지 않으려는, 무역상 이익이나 증시의 변동폭 등은 그보다 작다고 계산이 되자 과감히 베팅하는 시진핑식 국제정치와 세계무역에 대한 통찰력과 과단성, 빠른 결단력에 대한 반면교사를 우리도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