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고령화 사회 고용문제 해법 'HR서비스' 주목

고용연맹 동북아회의 개최…한·중·일 "HR서비스 통해 인력 위기 해결" 한 목소리

조규희 기자 | ckh@newsprime.co.kr | 2018.10.23 11:14:48
[프라임경제]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는 가운데 "HR서비스가 생산인력 부족 문제의 해결책"이라는 업계 관계자의 분석이 눈길을 끈다.

세계고용연맹 제13회 동북아시아 회의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었다. ⓒ 한국HR서비스산업협회



일본인재파견협회 주관으로 일본 오키나와현 라구나가든호텔에서 지난 19일 개최된 제13차 세계고용연맹 동북아시아지역회의(이하 WEC동북아회의)에 참석한 한·중·일 HR서비스산업 관계자 70여명은 "HR서비스가 고용 문제 해결에 큰 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공통된 입장을 밝혔다.

이번 회의는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대응한 HR서비스의 역할'을 주제로 동북아 3국의 HR서비스산업계 관계자들이 자국의 현황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을 나눴다.

국내 대표로 참석한 한국HR서비스산업협회에서는 박주상 회장을 포함한 협회 임원과 회원사 임직원 등 14명이 참석했고, 일본은 일본인재파견협회, 중국은 중국대외복무공작업계협회 관계자 및 회원사가 함께 했다.

카시와무라 미오 세계고용연맹 동북아 의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 한국HR서비스산업협회



카시와무라 미오 WEC동북아지역회의 의장은 개회사를 통해 "한·중·일 3국의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심각한 노동인력 부족 문제로 드러난다"며 "본 회의에서 HR서비스의 역할을 모색하자"며 개회를 선언했다.

◆일 "다양한 고용 방식 인정"…한 "규제 완화 필요"…중 "아직 문제 없어"

회의에 참석한 한‧중‧일 관계자는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HR서비스의 역할'에 대해 발표했다.
 
사카모토 코지 일본인재파견협회 부회장은 "일본은 전세계에서 가장 먼저 초고령화사회에 접어들었다"며 "인력부족으로 해외인력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등 어려움을 겪는 만큼 정년을 69세로 늘릴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일본 일부 기업은 인력문제 해결을 위해 △재택근무 시행 △65세 이상 고령자의 정책적 고용 △외국인 노동자 활용을 진행 중"이라며 "HR서비스기업도 △경력단절여성 복직지원 △전문성을 살린 시간선택근로제 도입 △고령자 활용 파견서비스 △고령자 전문 아르바이트 서비스 등을 통해 고령자와 경력단절 여성을 위한 다양한 근로방식 지원 전문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남창우 한국HR서비스산업협회 사무총장은 "이미 2017년 한국은 고령사회에 진입했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가 될 것"이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령자와 여성을 위한 전문적인 고용지원서비스가 필요한데, 한국은 공공고용서비스 위탁 대부분이 △종교·사회·기업단체 △교육훈련기관 △건설·가사 인력전문 소규모 직업소개소 등 비전문 기관에 맡겨지고 있어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서 "한국 고령자 노동은 생존의 문제"라며 "고령자 및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늘리고, 생산성을 확보하려면 관련 공공고용서비스를 전문성을 갖춘 HR서비스기업에 위탁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HR서비스를 제약하고 있는 관련 규제가 개선돼야 HR서비스기업의 활발한 사업 참여로 이어질 것"이라며 "규제 개선이 선행돼야 고령자와 여성의 안정적 노동시장 참여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린통 중국대외복무공작업계협회 연구주임은 "중국은 은퇴 후 삶을 즐기는 문화 등의 이유로 고령화가 위기를 초래하고 있지는 않다"고 전제하고, "하지만 중국 정부에서도 중장기적으로 다가올 고령화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HR서비스업계 전문성 강화와 관련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 정규직화 부작용 해결위해 규제 완화해야"

일본, 한국, 중국은 발표를 통해 각국의 노동시장과 법 제도, HR서비스 시장 현황 등의 정보를 교류하기도 했다.

미즈타 마사미치 일본인재파견협회 회장은 "현재 일본은 저출산·고령화 해결을 위해 고령자, 청년층, 여성 등 각 계층의 노동 방식 개혁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히로미치 타사키 부회장은 "일본경제의 완만한 회복세가 진행되는 가운데 노동시장에서는 정규직, 계약직, 파견직 등 모든 고용이 대폭 증가해 완전고용 상태를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주상 회장은 "정부가 정규직화에 따른 부작용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프라임경제

박주상 한국HR서비스산업협회 회장은 "세계 경제와 고용이 개선되고 있음에도 유독 한국에서는 IMF 이후 최대 고용 위기를 맞았다"며 "정부의 정규직화 정책은 일부 고용의 질 향상이라는 효과를 내기도 했지만, 업계 전반적 관점에서는 △근로자의 노동시장 탈락 △신규 인력의 진입장벽 발생 등 부작용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노언수 한국HR서비스산업협회 부장은 "1999년 이후 정규직, 계약직, 용역직, 파견직을 불문한 최악의 고용부진에 직면했다"고 현 시장을 분석했다. 그는 △고용형태 규제 정책 전환 △경직된 고용환경 개선 △기업 간 불공정 거래 개선 △공정임금 실현을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는 중국은 양국과 달리 HR서비스 안정적 성장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얀지엔 중국대외복무공작업계협회 사무총장은 "지난해 중국 경제 순항과 함께 중국 HR서비스산업은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특히 중국 인적자원사회보장부는 HR서비스산업 발전 행동계획을 통해 고령화 사회를 함께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세계고용연맹(WEC)동북아회의는 매년 한·중·일 순회로 개최되며, 2019년 10월에는 한국HR서비스산업협회 주관으로 제주도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