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기고] 크라우드펀딩 근본 취지 살려야 'P2P' 미래 있다

 

최낙은 ㈜파트너스펀딩 대표이사 | press@newsprime.co.kr | 2018.11.01 13:17:24

[프라임경제] 2015년도 중국 P2P시장의 업체 수는 3500개에 달했지만 중국 당국의 디레버리지(부채축소) 정책으로 인해 현재 1500개 수준으로 줄어들었고 내년도 예상은 50~100개만이 살아남을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영국의 P2P대출업체 렌디(Lendy)는 부동산 대출분야로 사업범위를 확대하면서 채권손실이 극대화돼 미상환대출금 1억8000만 파운드 중 1억2200만 파운드가 연체돼 총 대출금액의 60%가량이 부실채권화 됐다.

국내 P2P업체의 연체율도 최근 5.4%를 넘어 금융감독원에서도 심각성을 인지해 전수조사에 나서 기준미달인 업체 18곳을 검찰에 고발했고, 추가로 20여곳을 조사해 이중 일부를 검찰에 고발할 예정이다.

많은 투자자들이 중국이나 혹은 영국의 사례와 같은 부실이 국내업체에도 발생하지 않을까 염려하는 가운데 지난 1999년도 당시 IMF 외환위기를 틈타 삼부파이낸스 등 29개 업체와 그 외 100여개 유사업체가 자금을 투자받아 5만명에게서 4조원이 넘는 피해를 일으키는 금융사고가 발생한 전례가 있듯이 재발사고에 유의해 신중한 투자결정이 요구된다.

당시 삼부파이낸스의 경우 1998년도 투신업법 개정으로 도입된 사모펀드의 취지에 따라 경쟁력 있는 벤처기업에 투자를 하고 이들 기업이 코스닥 등에 등록하면 투자금을 회수해 수익을 창출했고, 심형래 감독의 SF영화 '용가리' 등의 영화산업에 100억이 넘는 돈을 투자하여 수익을 거둔 바 있다.

그러나 경쟁력 있는 벤처기업이나 문화산업에의 투자는 많은 검토와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보니 좀 더 쉽고 단순한 건설프로젝트와 같은 부동산에 투자에 몰렸고 이때부터 낮은 수익률과 적자가 누적돼 결국 비자금 등의 조성으로 쇠퇴의 길을 걷게 됐다.

지금의 P2P위기를 보면 당시의 파이낸스회사들의 상품들과 겹치는 부분이 많이 있다.

P2P의 원조격인 크라우드펀딩을 보면 다수의 소액 투자자들이 자금의 부족으로 사업화 하지 못하는 상품이나 기업에 투자해 경쟁력 있고 참신한 아이템들이 시장에서 소비자의 판단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하지만 현재의 P2P업체 상당수는 정부의 정책이나 시장상황에 따라 소용돌이칠 수밖에 없는 전형적인 체계적 위험군에 속하는 부동산 대출, PF 등에 상품이 치중돼 투자자의 우려를 낳고 있다.

지금이라도 크라우드펀딩의 목적과 취지에 맞게 새로운 아이템과 기술력을 가진 개인이나 기업을 발굴해 펀딩을 행함으로서 투자자에게는 안정된 수익성을 지급하고 아이템의 기획자에게는 활성화의 기회를 제공하는 상생하는 플랫폼으로써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기존의 P2P회사들이 부동산 담보 등에 안주해 전체 P2P시장을 위험에 빠뜨리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최낙은 ㈜파트너스펀딩 대표이사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