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노동계 지나친 욕심 '광주형 일자리' 걷어차나

"민주노총 철밥통 지키기 지역 일자리 1만 여개 걷어찬다"

김성태 기자 | kst@newsprime.co.kr | 2018.11.16 17:49:41

광주시민단체총연합이 지난 6일 울산 현대차 정문 앞에서 호소문을 발표하고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꼭 이뤄질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 광주시민단체총연합

[프라임경제] 현대자동차와 광주시가 추진하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자칫 무산될 기로에 놓였다.

정부와 지역노동계로부터 협상권을 일임받은 광주시와 사업 물량을 배정할 현대차간의 협상이 진척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15일 이용섭 시장 등 광주시 협상팀과 현대차는 서울 양재동 현대차 본사에서 2차 협상을 벌였지만 소득없이 끝났다.

임금과 근로시간 등 주요 쟁점에서 양측 간의 입장차이가 좁혀지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협상 과정에서 현대차는 '주 44시간, 연봉 3500만원' 원안대로 협약하자는 입장인 반면, 광주시 협상단은 주 40시간 근무 시 3500만원에 특근비 지급 등을 별도로 요구하고 있다.

광주시는 현대차와 합작법인을 설립한 뒤 경영수지를 분석해 확정하자는 입장인 반면, 현대차는 초임 연봉 3500만원을 협약서에 명시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단체협약을 어떻게 할 것인지, 생산차종을 가솔린차로 할지 친환경차로 할 것인지를 놓고도 양측간의 의견차이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현대차 입장에선 5년간 임금 및 단체협약 유예 조항이 빠진 것도 리스크 요인이다. 적정임금을 추후에 협의한다거나 매년 단체협약을 한다는 내용은 강성노조에 부담을 갖고 있는 현대차로서는 받아들이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민주노총 산하의 현대·기아차노조가 총파업을 거론하며 극렬하게 반대하고 있는 것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결국 지자체 일자리 정책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현대차 노조와 민주노총의 강한 압력에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다.

광주지역 직장인들의 평균 연봉을 감안할 때 연봉 3500만원 일자리는 결코 적은 수입이 아니라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특히 현재의 취업난 상황에서 '광주형 일자리'가 현대‧기아차 수준을 맞춰야 한다는 것은 노동계의 지나친 욕심이다.

광주형 일자리 협약이 타결됐을 경우 정규직 근로자는 신입 생산직과 경력 관리직을 합쳐 1000여 명, 간접 고용까지 더하면 1만∼1만 2000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사업이 무산될 경우 민주노총 등 '노동계의 지나친 욕심이 지역 일자리 1만 여개를 걷어찼다'는 비난이 비등할 조짐이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이번 주 일요일까지 협상을 계속할 예정이다.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기업이 낮은 임금으로 근로자를 고용하는 대신,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복리·후생 비용 지원을 통해 보전한다는 일자리 창출 사업으로 광주시가 추진하고 있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7000억 원을 투입해 빛그린산업단지 내 62만 8000㎡ 부지에 1000cc 미만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연간 10만대 양산하는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