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기고] 공기업 정규직화와 시설관리서비스

 

박동주 골드브릭스 에프엠에스 대표 | press@newsprime.co.kr | 2019.02.26 12:12:01

[프라임경제] 최근 공기업을 중심으로 비정규직 노동자의 정규직화에 대한 바람이 거세다. 

정부정책이 물론 가장 큰 그 원동력이겠지만 본업(Core Business) 이외에 부가업무에 대해서는 완전업무위임(Full Outsourcing)을 통해 비용절감과 업무효율을 개선, 향상시켜 기업 경쟁력을 높이고, 전문성을 확보한 공급자를 통해 부가업무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킨다는 기본 기업경영개념과는 거리가 있어 IFM(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종사자의 한 사람으로서 다소 걱정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비정규직을 정규직화 한다는 것은 근로자의 근무환경과 처우 그리고 직업안정성이 그 중요한 고려사항일 것이다. 그러나 공기업의 비정규직 근로자가 해당 공기업의 정규직이 돼야만 그러한 것들이 확보된다는 얘기는 아닐 것이다.

많은 공기업들이 자신의 본업이라 할 수 있는 업무영역이 아닌 부수업무 즉, 시설안내, 청소, 설비관리 등등의 인원을 정규직화 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보편적인 기업운영전략과는 반대 방향이며 기본적인 기업경쟁력을 상실할 수도 있는 비본업(Non-core business)에 대한 비용 증가와 관련 업무지원을 위한 업무효율 저하 등의 효과까지 고려하면 정책적으로 공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이 아닌가 싶다.

만일 그 인원들이 해당업무에 전문성을 가진 시설관리회사의 정규직이 되고 처우나 직업안정성을 보장받게 만든다면 오히려 근로자, 공기업, 시설관리 회사 모두가 대우나 경쟁력, 사업성에서 더욱 긍정적이지 않을까?

과연 한국은행이나 조폐공사 같은 조직에서 청소나 시설관리, 안내데스크 등의 인원들을 직접 채용하고 업무를 관리하는 것이 최근의 글로벌 기업경쟁력 제고차원에서 옳은가 하는 의문이 든다.

더욱이 그들의 전문성 개선을 위해 교육 훈련에 투자하고 관련 기술과 정보를 획득해가며 기업을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가능할까 하는 의구심과 함께, 80년대와 90년대 과거 기업운영의 문제로 지적됐던 비본업 끌어안기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수 많은 연구와 개선 노력들은 무엇이었을까 하는 의아함마저 든다.

물론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수 없는 지적과 마찬가지로 시설관리업에 만연해 있는 서비스 인원을 정해서 입찰하는 국가입찰정보시스템인 '나라장터'부터 먼저 개선해 보는 것은 어떤가.

경비원 몇 명, 청소원 몇 명 등등 서비스 인원을 정해서 입찰을 하니 시설관리 업체들은 최저임금 수준 부터 서비스 인원의 급여를 시작하게 되고 많은 지적들처럼 퇴직금이나 후생복지 비용을 편법이든 그렇지 않든 최대한 줄인다.

더욱이 계약 기간도 1년이라 서비스 제공 직원들의 장기 계약은 꿈도 못 꿀 일이다.

만일 IFM(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의 기본 개념과는 정반대인 '고객사'라는 기업의 비전문가가 서비스인원을 멋대로 정해 하청이나 용역이라 불리는 시설관리 업체 근로자들의 처우와 고용안정성을 저하시키는 근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즉 시설의 서비스 면적에 근거해 자유로이 시설관리 회사들이 인원이나 장비 등을 가격에 반영할 수 있다면, 공기업뿐만 아니라 많은 사기업의 시설관리 서비스 근로자의 처우와 고용을 안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당연히 공기업의 경쟁력도 강화 시키고 시설관리회사의 사업성에도 긍정적이니 시설관리회사의 근로자들의 정규직화와 연계산업까지의 고용 안정 도 확보할 수 있다. 더하여 1년이라는 계약기간이 비용절감에 최고방법이라 생각하는 단순함에서 탈피한다면 그 효과는 더 할 것이다.

이미 선진시장에서 시설관리 계약은 기본 3년에서 5년까지가 보통이니 시설관리회사의 기술도입이나 운영효율을 통해 장기적인 비용절감을 약속 받고 서비스질 향상에 더 집중하는 것이 기업입장에서는 현명한 일이 될 것이다.

서비스 인원들을 정규직화하고 교육훈련을 통해 자기계발을 유도하며 이에 투자하는 일은 시설관리회사가 해야 할 일이다.

앞서 언급한 국가입찰정보시스템 '나라장터'를 통해 공기업 대부분이 입찰한다는 것을 볼 때 고객사에 의한 서비스 인원 고정탈피, 계약기간 장기화 등을 시작할 수 있다면 공기업 정규직이 되는 것 보다 서비스 제공사의 정규직이 업무 전문가로 성장하는 기회나 처우에 더 큰 기회를 기대할 수 있다.

시설관리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 업무는 바로 그 시설관리 회사의 본업이라는 것도 잊어서는 안된다. 더구나 공기업을 넘어 사기업까지 비본업 인원들의 정규직화를 독려 한다니, 시설관리업에 종사하는 수많은 근로자들을 고려한 정책이라고는 절대 받아들여지기 어렵다.

박동주 골드브릭스 에프엠에스 대표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