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정부, ESS 연쇄 화재 원인 "복합적 요인 작용"

종합적인 안전강화 대책 시행 및 안전조치 취할 예정

오유진 기자 | ouj@newsprime.co.kr | 2019.06.11 12:17:52

산업통상자원부는 공식 브리핑을 통해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이하 민관조사위)가 약 5개월에 걸쳐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정부가 에너지저장장치(ESS) 연쇄 화재 사고 원인에 대해 제조 결함‧관리 미흡‧설치 부주의‧통합관리체계 부족 등 크게 4가지의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결론 내렸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11일 공식 브리핑을 통해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이하 민관조사위)가 약 5개월에 걸쳐 조사한 결과를 공개하고, 화재사고 재방 방지를 위한 종합안전강화대책 및 산업생태계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민관조사위는 ESS 화재사고 원인으로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등 4가지를 요인으로 꼽았다.

그러면서 "일부 배터리 셀에서 제조상 결함을 발견했으나, 이러한 결함을 모사한 실증에서 화재 원인이 아닌 화재 가능성을 높이는 위험요소로 조사됐다"며 "(이에 따라) LG화학이나 삼성SDI 등 개별 제조업체의 책임을 묻지는 않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ESS를 구성하는 배터리 관리시스템인 BMS와 에너지 관리시스템인 EMS 등의 정보 공유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던 것도 화재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ESS 설치·시공 과정에서 △주변 지형 △온도 △습도 △배터리 이격거리 등을 고려하지 않은 것과 설치 이후 ESS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은 것도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목했다.

정부는 이번 조사로 드러난 화재 원인을 토대로 ESS 제조‧설치‧운영 단계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소방기준 신설을 통해 화재대응 능력을 제고하는 종합적인 안전강화 대책을 시행할 방침이다.

특히 ESS를 특정소방대상물로 지정해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지난해 말 기준 1490개 ESS 가운데 3분의 1 정도인 522개가 가동정지 상태인 가운데 재가동을 위해 'ESS안전관리위원회'를 설치해 사업장 특성에 맞는 안전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또한 가동 중단된 522곳을 위험성의 경중에 따라 옥외이전 할 것은 이전하고 방화벽을 설치하는 등 안전조치를 취하고 그 이행을 점검할 계획이다.

아울러 화재사태로 공사발주를 못한 업체를 위해 신재생 인센티브에 해당하는 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추가로 6개월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이 신재생을 늘려가는 상황에서 ESS 선두주자인 우리가 먼저 매를 맞은 것"이라며 "이번 화재사태를 계기로 ESS 안전성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려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