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삼성전자' 사내이사 내려놓는 JY…지배구조 해법은, 시간이 약?

여당 경제 개혁 동력 급락 중, 정치적 이슈 일희일비보다 자금력 강화 진인사대천명 할 듯

임혜현 기자 | tea@newsprime.co.kr | 2019.10.07 09:23:56

[프라임경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국정농단 사건으로 다시금 장고에 들어갔다.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를 받아 한결 홀가분해진 상황이었으나 대법원이 상당히 부담을 주는 판결 요지를 얹어 파기환송심 구도를 만들어 낸 것. 그는 결국 이번달 사내이사 재선임을 사실상 포기하는 방법으로 정중동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가 오너 일가의 지도력이 약해지는 상황에 직면하지 않겠느냐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모바일에서의 선전이 돋보이며, 반도체 영토 확장 야심의 얼개를 이미 대강 그린 상황이라 당장의 타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대두된다. 이사회와 전문경영인의 하모니를 꾀하는 실험에서 이미 어느 정도 자신감을 얻어 이 같은 수순을 택했다는 풀이도 뒤따른다.

오히려 더 큰 그림, 삼성그룹을 어떻게 승계하느냐의 과제로 눈길을 돌릴 때라는 지적이 대두된다. 삼성그룹은 과거 의결권을 가진 삼성전자 자사주와 삼성화재 등 삼성 계열사 자금을 활용해 삼성전자에 대한 지배력을 확보했다는 평. 하지만 순환출자 고리를 끊는 쪽으로 전진해 왔다. 정치권과 사회의 압박과 주문을 수용한 결과다. 그럼에도 여전히 정치권은 오너 일가 지배력 강화 제동에 눈길을 준다.

앞서 '삼성전자 지주회사 아이디어'도 포기, 남은 길은?

문재인 정부 들어 금산분리 압박은 더 강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삼성그룹 금융 계열사들이 갖고 있는 삼성전자의 지분을 줄여야 한다는 논리다. 이를 극복하는 것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결국 언젠가는 풀어야할 과제로 꼽힌다.

현재 문제의 가장 큰 초점은 누구도 시가총액 300조원대의 삼성전자를 개인 자격으로 지배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주회사 형태로 삼성전자를 지배하려면 20% 이상의 지분을 확보하는 과제가 생긴다.

삼성전자를 지주회사로 전환하는 이슈 등 다양한 다른 아이디어들이 거론돼 온 이유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이미 2018년 40조 규모의 자사주 소각 절차를 마무리한 바 있다. 지주회사 전환 포기 신호로 시장에 받아들여졌다. 한편 이는 배당 확대 등 주주친화적 정책 신호라고도 풀이되고 있다.

결국 지금은 이재용 부회장 지분이 상대적으로 큰 삼성물산을 통해 삼성전자를 간접지배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삼성 금융 계열사들이 삼성전자 지분을 보유, 오너 일가를 옹위해 온 구도였다. 하지만 지금 이 금융 계열사 부분에 도전이 있는 셈. 지난 6월 말 기준,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은 8.8%다. 삼성화재 역시 삼성전자 지분 1.5%를 갖고 있다. 

'보험업법 개정안'이 현재 국회에 제출돼 있는데 이 안이 현실화될 경우 삼성생명 및 화재는 계열사 주식을 시장가치 기준으로 보유자산의 3%까지만 보유 가능하다는 강화된 족쇄를 차게 된다.  

정부와 정치권이 금산분리 규제 강도에 대한 결단을 어떻게 얼만큼 빨리 내리는가에 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 매각 향방이 결정될 전망이다. 이런 와중에 지주회사 전환 아이디어 등 선택지를 내려놓는 선택이 꼭 필요했냐는 볼멘 소리도 나온다. 하지만 반론도 나온다. 지금 구도로서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할 상황에서 차선의 판단을 그룹 수뇌부에서 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선 시찰 중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맨 오른쪽)과 임원들. ⓒ 삼성전자

'물량 받아줄 여력'이 관건? 현금성 자산 시나브로 늘리기

문제는 향후 보험업법이 개정되는 '타이밍'이다. 삼성생명이 가지고 있는 삼성전자의 지분을 매각해야 하는데 당장은 지분 규모가 커서 이를 받아줄 여력이 마땅찮다는 게 고심거리라는 것.

일거에 해결할 방안은 없더라도 최대한 받을 여력을 만들고 구도를 유리한 방향으로 끌고갈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는 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여기서, 앞서 거론한 삼성전자의 자사주 소각 및 배당 문제 강화(주주친화적 정책)을 달리 볼 필요가 제기된다.

일부에서는 삼성전자가 자사주 소각을 반복함으로써 오너 일가 지분율을 높이는 자체가 방법이라고도 해석한다. 이는 자사주 소각 추진 초입에 대두됐던 얘기다. 예를 들어 5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해 소각하자, 오너 일가와 특수관계인의 삼성전자 지분율이 18.45%에서 20.0%로 1.5%p가 늘어난 점이 소개되면서 이런 펌핑 작업 반복으로 지배력 강화를 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온 바 있다. 하지만 이런 소각으로 인한 비율 변화는 다른 주주와의 관련 구도 등에서 큰 의미가 없는 소리가 나온다. 일종의 착시이지 않냐는 의견이 대두된다.

다만 배당 강화는 주목할 만하다. 삼성전자의 배당 강화로 오너 일가와 삼성물산의 현금성 자산이 강화된다는 부분이다.

실제로, 2016년 2조7000억원이었던 삼성물산의 현금성 자산은 내년에 5조원을 넘길 것으로 추산된다.

보유한 주식의 배당금 증대, 그리고 삼성물산 자체의 실적 호조가 겹친 결과다. 여기에 자산 매각 등 구조조정 노력도 더해진다. 자산 매각으로 1조원가량의 현금화 효과를 얻었다는 것.

오너 일가도 삼성전자 등 배당으로 상당한 수익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런 상황은 뾰족한 수가 있는 건 아니지만 결국 정치적 흐름에 일희일비하는 대신 할 수 있는 모든 걸 다하며 기다리겠다는 차분한 상황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보험업법 이슈 등의 국회 처리 여부 등 정치적 상황이 삼성그룹에 꼭 불리한 것만은 아니다. 현재 조국 사태로 인해 여당의 역량은 검찰 개혁과 공직자비리수사처 추진으로 집중되고 있다. 여력이 마땅찮아 경제 문제로 눈길을 돌리기 어렵다는 것.

거듭된 경제 정책의 브레이크와 혼선으로 자신감이 떨어진 점도 앞으로 집권 후반부에 재벌 개혁 등 덩치가 큰 문제로 청와대와 여권이 칼을 겨눌 가능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결국 재벌 개혁 등 경제 문제를 다음 문제로 돌리고 통일 이슈와 검찰 개혁 등에 매달리는 상황이 삼성에게는 득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 치러질 파기환송심 시험은 어렵기는 하지만 꼭 불리한 것만은 아니다.

난이도와 시간 배분이 모두 안 따라주는 최악의 상황만 면하기를 바라면서, 정중동을 하는 때에, 에너지를 낭비하고 이미지 저하를 가져올 상황을 굳이 초래할 필요가 없다. 때로 동정표를 얻어 보탤 필요도 있다. 납작 엎드리는 모양새의 사내이사 재선임 포기 카드를 이재용 부회장이 택하되 전체적인 '그룹 전략 구도'를 여전히 쥐겠다는 소리가 흘러나오는 것은 그런 종합적 상황이 빚어낸 문제다. 현재의 삼성그룹 구도를 탄탄하게 끌고가 곳간을 채우고, 배당 강화로 가는 걸 포기 못한다는 절실함을 시사한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