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청년칼럼] 삶기술학교와 도시청년 시골파견제 '지방 살리기'

 

김성현 청년기자 | unkn123@naver.com | 2019.11.21 16:39:32
[프라임경제] 지난 15일 방영된 KBS '다큐멘터리 3일'에서는 충남 서천군 한산면에서 생활하는 청년들 이야기가 담겼다. 

고층빌딩과 교통체중, 붐비는 사람들이 익숙한 청년들은 한가로운 시골 삶에 적응하려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이들 청년들은 '삶기술학교'를 만들어 삶에 필요한 기술과 시골에 적응하는 법을 익히며, 지역 전통 사업인 '모시를 짜는 법'을 장인에게 배우기도 했다.

11월7일자 'SBS 스페셜'에서도 청년들이 시골로 내려가 창업하는 모습이 방영됐다. 이는 '도시청년 시골파견제'로 도시 청년(만 15세 이상 39세 이하)이 시골에 정착해 창업할 수 있도록 한 사람당 연 3000만원(최대 2년) 지원하는 사업이다. 

Ⓒ KBS '다큐멘터리 3일' 화면 캡처


청년들은 특유 아이디어로 창업 아이템을 심사위원에게 소개하고, 통과되면 돈을 지원받는다.

전창록 경상북도 경제진흥원장은 "청년들 하나하나가 로컬 크리에이터 역할을 하면 좋을 것 같다"라며 "버려지거나 잊혔던 지방 자산들을 다시 한 번 새로운 아이디어로 재조명해 반짝반짝하게 해주면 좋겠다"라며 사업 기대감을 드러냈다.

실제 청년들이 찾고 있는 지역은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서천군 한산면에도 청년들이 '노란달팽이'라는 카페 겸 숙박업소를 오픈해 운영하고 있다. 노란색 바탕의 카페는 젊은이다운 개성 있는 인테리어로 눈길을 끈다. 중간에 빈집을 개조해 묵고 있는 청년들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수확한 주변 농산물로 만드는 수제 아이스크림 가게와 다양한 물고기가 있는 수족관, 그리고 작지만 아늑한 책방 등 많은 가게가 오픈했다. 

눈여겨볼 점은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를 방문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가게들은 SNS 마케팅을 통한 온라인 판매로 수익을 내고 있으며, 저렴한 임대료도 장점 중 하나다. 

이처럼 소멸 위기에 처한 지방이 다양한 방식으로 청년들을 끌어들이려는 노력은 남다른 의미를 가진다. 

'한국의 지방 소멸 2018'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28개 시군구 중 39%(89곳)가, 3463개 읍면동 가운데에는 43.4%(1503곳)가 소멸위험 지역(2016년 6월 기준)으로 분류되고 있다. 

소멸위험 지역 93%가 비수도권이며, 가장 큰 문제는 주로 젊은층이 이탈한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청년들은 왜 수도권으로 쏠리는 것일까? 

Ⓒ 'SBS 스페셜' 화면 캡쳐


이들 청년들은 다들 취업 가능한 일자리가 없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대다수 기업들이 수도권에 쏠려있고, 스타트업마저 90% 가량도 집중될 정도로 일자리 대부분이 수도권에 몰려 있어 청년들이 지방으로 내려갈 일은 없다는 것이다. 

'이웃나라' 일본에서는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 2015년부터 지방창생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일자리로 사람을 불러 모으고, 사람이 다시 일자리를 창출하는 선순환 구조로 생기 있는 마을을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현재 지방창생전략이 나타내는 수치는 희망적이다. 일본 국토교통부 설문조사 결과 20대 지방 이주 희망자 비율이 무려 25%로,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또 지방 이주를 지원하는 비영리법인을 이용하는 20대 비율도 10년 전에 비해 10배 상승했다.

물론 누군가는 '사람이 몰리는 만큼 수도권을 보다 살기 좋은 곳으로 바꾸면 되고, 또 지방 인구 감소가 수도권과 무슨 상관이냐'라고 반문할 수도 있다. 

하지만 지방 소멸은 결국 수도권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인구 50% 이상이 국토 12% 부지에 살게 되면 필연적으로 도시문제가 발생하며, 그 정도는 인구 밀집도에 비례해 상승한다. 여기에 집값과 물가는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이며, 일자리 경쟁도 한층 심화될 것이다.

반면, 점차 소멸되는 지방 지자체는 감소하는 세수 때문에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다. 아무리 사람이 적은 곳이라 할지라도 최소한 공공서비스는 제공돼야 하는 만큼 이를 위한 공적자금이 늘어날 것이고, 그 비용은 우리 모두 부담해야 한다. 

실제 인구가 적은 지역일수록 주민 1인당 투입예산은 늘어난다. 2001년을 기준으로 대도시 주민 1인당 투입 예산은 23만원인 반면, 군지역은 무려 200만원이다. 이는 점차 늘어나 오는 2027년에는 군 주민 1인당 투입 예산이 1170만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방은 과연 살아남을 수 있을까? 다양한 생존 전략이 필요한 시기다. 무턱대고 청년들에게 내려오라고 하면 안 된다. 

그들이 원하는 것과 필요한 것을 파악하고, 최대한 지원해야만 지방은 살아남을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삶과기술학교', '도시 청년 시골파견제'는 의의가 깊다. 



김성현 청년기자

*해당 칼럼은 사단법인 '청년과미래' 활동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