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빅데이터 이용기업 10%되면 7만9000명 일자리 창출"

2019년 고용영향평가 결과 발표회 개최…데이터 산업 활성화 일자리 창출 이어져

김이래 기자 | kir2@newsprime.co.kr | 2019.12.16 19:00:11

[프라임경제] 앞으로 5년간 빅데이터 이용 기업의 비율이 10% 수준까지 상승하는 경우, 전 산업에 걸쳐 최소 7만9000명의 고용이 창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경제 활성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발표에서 데이터 산업의 활성화가 산업 전반의 일자리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 연합뉴스

고용노동부(장관 이재갑)는 지난 13일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노동경제학회와 함께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2019년 고용영향평가 결과 발표회'를 개최했다.

고용영향 평가는 정부 정책이 일자리의 양과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평가해 고용친화적인 정책으로 이끄는 제도로 올해에는 5개 분야 28개 정책을 평가했다.

올해 주요 분야는 △산업 활성화 △혁신성장 △공정 경제·노동조건 개선 등의 분야다.

특히 올해는 대·중소기업 간 공정 경쟁 관련 정책, 노동조건 개선 관련 정책 등을 주로 평가했으며 4차산업혁명에 대비하는 혁신 성장, 최근의 시장 경향(트렌드) 변화에 따른 일자리 영향도 평가 대상에 포함됐다.

'데이터 경제 활성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발표에서는 정부가 중점적으로 지원·육성하고 있는 데이터 산업의 활성화가 데이터 산업 및 그 외 산업 전반의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정책적 지원은 데이터 공급을 담당하는 데이터 산업과 데이터를 상품생산·서비스 제공 등에 활용하는 일반산업의 고용에 모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앞으로 5년간 빅데이터 이용 기업의 비율이 10% 수준까지 상승하는 경우, 전 산업에 걸쳐 최소 7만9000명의 고용이 창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장기적으로 빅데이터와 인공 지능 기술의 융합 단계로 발전 시 자동화·무인화가 확산돼 고용 대체 발생 가능성도 지적하고,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도 나왔다.

실태 조사에 따르면, 데이터 경제 활성화의 저해요인은 △관련 규제 △전문인력 부족 △유용한 데이터 확보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데이터 3법'의 개정 등 관련 규제의 지속적인 정비, 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임서정 차관은 "일자리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정확한 정책 효과를 측정하는 고용영향평가의 역할이 중요하다"면서 "오늘 발표된 평가 결과들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실제 일자리 정책 추진에 반영되야 결실을 맺게 된다. 여러 정책 담당자들과 관계자분들의 적극적인 관심을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