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홈플러스-노조, 첨예한 대립각…"부동산 투기 vs 자산 유동화 조치"

FY2019 사상 최악 실적 '현금확보' 절실…사측 고용 보장 약속

추민선 기자 | cms@newsprime.co.kr | 2020.09.14 17:27:58
[프라임경제] "직원들의 고용안전과 복지향상을 위해 존재하는 노동조합이 오히려 홈플러스와 그 회사 직원들의 앞길을 가로막고 서 있다. 벼랑 끝에 내몰려 생존을 위해 발버둥 치는 위기의 홈플러스가 탈출할 길을 막고, 오히려 벼랑 끝에서 밀어내고 있는 장본인은 오히려 '내부'에 있었다. 홈플러스의 생존에 대한 논의에 당사자가 아닌 '제3자'인 마트노조가 개입해 과격한 의견을 개진하면서 2만4000여명 직원들의 생활 터전인 회사를 불안정하게 뒤흔들고 있는 셈이다."

국내 2위 대형마트인 홈플러스가 최근 안산점, 대전 탄방점에 이어 대전 둔산점의 폐점 매각을 결정을 두고 노조와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노조 측은 부동산 투기를 멈추고 고용 안정을 보장해 달라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고, 사측은 오히려 노조가 회사의 앞길을 막고 있다며 매각은 사업 정상화를 위해 불가피한 자산유동화 조치임을 강조했다.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는 14일 '홈플러스 사례로 보는 먹튀 사모펀드의 문제점'이란 주제로 발제와 토론을 진행했다. 대형마트 업황이 밝지 않아 되팔아 이윤을 남기기 어려운 사모펀드가 홈플러스의 자산을 매각해 부채를 줄이는 일에만 몰두한다는 비판이다.

마트노조에 따르면 MBK는 지난 2015년 홈플러스를 인수할 당시 총 인수금 7조2000억원 중 자기자본을 2조2000억원만 투입했다. 나머지 5조원은 홈플러스의 자산을 담보로 인수금융으로 조달했다. 선순위 대출은 평균 이자 4.6%, 상환전환우선주는 9.0%의 수익률로 연이자 부담만 2000억원에 달한다.

마트노조는 MBK가 이 같은 차입매수(LBO·Leveraged Buy-Out) 방식으로 홈플러스를 인수한 이후 자산을 매각하고 인력을 감축하는 방식으로 이자 비용을 메꾸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내 2위 대형마트인 홈플러스가 최근 안산점, 대전 탄방점에 이어 대전 둔산점의 폐점 매각을 결정을 두고 노조와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노조 측은 부동산 투기를 멈추고 고용 안정을 보장해달라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고, 사측은 오히려 노조가 회사의 앞길을 막고 있다며 매각은 사업 정상화를 위해 불가피한 자산유동화 조치임을 강조했다. © 홈플러스


주재현 홈플러스지부 위원장은 "2017년에서 2019년, 3년 동안의 홈플러스 투자금은 2000여억원에 불과한데, 멀쩡한 기업도 LBO 방식으로 인수되면 거덜 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특히 폐점 매각을 통해 '대량 실업 사태'를 우려했다. 

김성혁 서비스연맹 정책연구원장은 "안산점, 대전 둔산점, 탄방점 폐점 매각이 추진 중"이라며 "MBK가 배당금을 빼간 것은 부채에 대한 이자를 부담하기 위한 것으로, 결국 차입금과 이자를 갚기 위해 노동자, 납품업체 등에 부담을 전가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영업이익 하락, 매장감소에 직면했고 직간접 고용인력 9407명이 감원됐다"고 지적했다. 

반면 홈플러스측은 자산유동화에 나서는 이유에 대해 '잇따른 재무건전성 악화에 따른 현금 확보'라는 입장이다.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와 홈플러스일반노동조합이 지난 6월3일 오전 10시 광화문 MBK 본사 앞에서 '홈플러스 밀실매각 MBK 규탄 기자회견'을 가졌다. = 추민선 기자


홈플러스는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4.7%, 38.9% 감소한 7조3002억원, 1602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손실은 5322억원으로 창사 이래 가장 큰 규모다.

홈플러스 측은 "불확실한 사업 환경이 지속되자 홈플러스는 3개 내외의 점포의 자산유동화를 통해 안정적인 사업 운영과 미래 사업을 위한 유동성 확보 계획을 세웠고 지난 7월 확정된 안산점, 대전탄방점에 이어 대전둔산점까지 자산유동화가 확정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동성의 위기에 놓인 기업이 현금 확보를 위해 뼈를 깎는 고통으로 부동산시장에 내놓은 대형점포들의 매매계약이 체결되자, 매수 기업의 본사 앞에서 계약을 철회하라며 집회를 연다. 이미 부동산을 매도한 기업의 노조라는 사람들이 집 앞까지 찾아와서 수백억 단위의 계약금을 포기하고 계약을 철회하라니, 동네 깡패도 하지 않는 후안무치한 행동"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이제는 시민단체들과 손잡고 시청과 시의회까지 찾아가 이미 계약이 끝난 부동산에 건물을 올리기 어렵게끔 법(조례)를 고치라는 압박을 시작했다. 기존 1100%까지 허용했던 용적률을 400%로 낮추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 건물을 겨냥한 사실상 '핀셋' 개정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안산시는 일반상업지구 내 주상복합건물 용적률을 기존 1100%에서 400%로 절반 이상 줄이는 조례 개정을 추진 중이다. 이와 같은 규제를 통해 점포 등의 매각을 통해 남길 수 있는 이윤을 줄여 유사한 행위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앞서 7월16일 부동산 개발 시행사 화이트코리아는 안산점 부지를 매입하며 계약금 400억원을 지불했고 주상복합으로 개발할 계획이었다.

홈플러스측은 "주상복합 경우만 용적률을 제한하는 건 이례적인 조례"라며 "홈플러스 노동조합과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노조, 안산시 일부 시민단체의 홈플러스 안산점 매각 반대로 인해 갑작스럽게 상정한 조례 개정 추진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이 이제는 노조의 역할을 넘어 정치적 이익집단으로 성장하려는 모양새"라고 비판했다. 

또한 "자산유동화가 이뤄져야 안정적인 자금 확보로 기업의 정상운영은 물론 고용관계도 유지할 수 있는데, 오히려 노조가 회사의 정상적 경영을 위협하는 것을 넘어 동료직원들의 고용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 심각한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홈플러스 점포에 대한 자산유동화는 홈플러스에서 진행하는 것이지만, 노조가 "주주사가 부동산 투기를 한다"는 근거없는 주장만을 일삼으며 주주사 MBK파트너스를 비난하고 있다고도 했다.

홈플러스의 자산유동화는 영업활동을 위해 수년간 보유한 당사 자산을 긴급한 유동화 필요에 의해 객관적 가치/시세에 따라 유동화를 진행하는 것으로, 유동화 주체인 홈플러스가 부동산 시세 급상승을 조성하거나, 급상승을 기대하고 부동산을 매입한 후 시세차익을 위해 급매도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홈플러스 측은 "홈플러스는 일명 '매수자'에게 점포를 매각하는 것일 뿐이다. 매수자가 주상복합, 상가, 아파트 등을 새롭게 지어 개발하는 것으로 '부동산 투자' '부동산 개발' 등은 홈플러스가 아닌 매수자가 자유롭게 진행할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노조가 주장하는 대량실업 사태에 대해서도 전 직원 고용유지 방침을 재차 강조했다. 

홈플러스는 "회사는 구조조정 없이 모든 직원의 고용을 유지하겠다고 여러 차례 밝혔다. 해당 점포의 영업이 안타깝게 종료되지만, 인력에 대한 구조조정은 절대 없다"며 "충분한 시간을 두고 전환배치가 이뤄질 것이며, 각 사업장의 현황과 직원들의 출퇴근 거리까지 고려한 면담을 진행해 전환배치에 따른 직원 불편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