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극지연구소 "아라온호 11번째 북극항해 마쳐"

지난 8월 초 해빙 거의 녹아 있는 것 확인…지구온난화 영향

오유진 기자 | ouj@newsprime.co.kr | 2020.09.15 16:14:06

국내 유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11번째 북극항해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 극지연구소

[프라임경제] 극지연구소는 지난 14일 국내 유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11번째 북극항해를 마치고, 광양항으로 돌아왔다고 15일 밝혔다.

아라온호는 지난 8월 초 북극해의 태평양 방향 입구인 축치(Chukchi)해를 지나며 바다얼음 (이하 해빙)이 거의 녹아 있는 것을 확인했다. 다른 북극 바다도 이전 항해와 비교했을 때 해빙 면적이 육안으로 확인될 정도로 줄었다. 

북극 해빙은 태양 빛을 반사해 지구의 기온을 조절하고 대기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지난 7월 북극 해빙의 면적은 인공위성 관측이 시작된 이후 7월 관측값으로는 가장 작은 규모를 기록하기도 했다.

아라온호 북극항해 연구팀은 동시베리아해에서 북위 74도부터 80도까지 600여km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수온과 염분 등을 관측했다. 이는 5년 만의 장거리 관측으로 200마이크로미터 미만의 소형 동물플랑크톤도 처음 채집했다.

또한 북위 75도 지점에 설치했던 5기의 수중 장기계류관측시스템도 회수 후 재설치에 성공했는데, 이 중 2기에는 2017년부터 3년간의 기록이 담겨 있다. 시·공간의 간격을 두고 채집한 정보는 북극 바다 환경의 변화와 온난화의 영향을 분석하는 데 활용될 계획이다.

특히 연구팀은 북극해로 접어들기 전 베링해의 주요 해류가 통과하는 지점 해저면에 음향 관측장비를 설치, 해류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관측망을 구축했다. 수집된 자료는 한반도 주변 바다의 고수온 현상의 원인을 분석하는데 활용된다.

아라온호는 한 달여의 짧은 휴식을 마치고 오는 10월 말 남극과학기지 월동연구대와 연구팀을 태우고 약 5개월간의 남극항해에 나선다.

조경호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해빙이 녹으면서 떨어져 나온 수백 미터 길이의 얼음 조각들 때문에 어느 때보다 항해와 관측에 어려움이 많았다"며 "현장에서 체감한 북극의 변화를 데이터와 연구결과로 국민께 보여드리겠다"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