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자동으로 물건 내리고 싣고…한국형 '스마트항만' 들어선다

해수부 2030년 항만 로드맵…전국 항만 자동화·문화거점 전환 추진

이수영 기자 | lsy2@newsprime.co.kr | 2020.11.17 15:06:39

부산 강서구 부산신항 모습.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부산항 제2신항을 중심으로 '한국형 스마트 항만'이 도입된다. 인천, 평택, 당진, 목포, 제주 등 권역별 특화한 항만도 개발해 안정적인 항만 물류 네트워크가 구축될 전망이다. 

해양수산부는 17일 오전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2030 항만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우선 해수부는 오는 2022년 착공에 들어갈 부산항 제2신항을 2030년부터 스마트 항만으로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오는 2026년까지 광양항에 5940억원을 투입해 항만자동화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기로 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자동화 기술 도입에 따른 일자리 손실을 최소화하고 양질의 일자리로 전환하기 위해 노조 측과의 협의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국제적 공급체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권역별 특화한 항만도 개발한다.

부산항 제2신항은 3만TEU급 초대형선이 접안 가능하도록 착공해 동북아 물류 중심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는 방침이다. 부산항 제2신항의 명칭은 지역 건의를 수용해 '진해신항'으로 확정했다. 

총물동량 기준 세계 11위 항만인 광양항에는 순환형 항로를 구축한다. 해수부는 배후산업과 연계해 배후부지 확충부터 산업 활성화, 물동량 창출, 항만개발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 광양항을 아시아 최고의 스마트 복합 항만으로 육성하겠다는 포부다.

이외에도 △인천·서해권은 대중국 수출입 화물처리를 위한 물류거점항만 △평택·당진항은 자동차·잡화 등 수도권 산업지원항만 △목포항은 서남권 지역 산업거점항만 △제주는 여객·크루즈 관광 중심항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또한 새만금항은 2022년 잡화부두(2선석)를 착공해 2025년에 완공하고, 울산·동해권은 문재인 정부의 핵심정책인 신북방 정책에 따라 신북방 에너지 및 물류 전진기지로 꾸린다.

이와 더불어 오래된 항만을 지역 경제·산업·문화 거점으로 만들기로 했다. 항만재개발을 통해 해양공원, 친수형방파제, 수변산책로 등을 조성한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국제 환경의 변화 속에서 우리나라가 항만물류 선진국으로서 발돋움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디지털 항만을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