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허달 칼럼] Again, 각주구검

 

허달 칼럼니스트 | dhugh@hanmail.net | 2021.01.03 21:23:19

[프라임경제] 아파트 주위 마을의 요란하던 폭죽소리도 이젠 멎은 것을 보니 신축년(辛丑年) 새해가 밝은 모양이다.

신년을 맞는 감상을 오래 전에 '각주구검(刻舟求劍)'이라는 고사(故事)를 인용하여 글로 써 남긴 것이 있었다. 그 글을 현대불교신문에 '불교와 코칭' 칼럼 '마중물의 힘' 연재하던 2010년, 새해맞이 글로 자가표절(自家剽竊) 재탕하여 써먹었는데, 그 이후 버릇처럼 매해 새해 맞이할 때면 이를 다시 읽어보게 된다.

아래와 같다.

<자가표절 전문(全文)>

2003년 새로 맡게 된 회사의 일로 연말 해외 출장을 다녀와서 새해를 맞을 때의 일이다. 습관화된 대로, 한 해를 돌아다본다고 책상 앞에 앉았다가 쓴웃음처럼 '각주구검(刻舟求劒)', 그 날의 글 제목이 떠올랐던 것이 선명하게 기억난다.

6년이라는 세월이 결코 짧은 기간은 아니어서, 그 동안에 나는 4년 간의 징검다리 사장 노릇을 끝으로 경영직에서 은퇴하였고, 그 후 코칭 공부에 전념하여 전문코치가 되었다. 이미 장가들였던 큰 아들에 딸 둘마저 시집보내 혼사를 다 끝내었으며, 2006년 친손자가 하나에서 둘로 불어났고, 2005년에 태어난 외손녀가 하나, 내달이면 외손자가 하나 또 태어날 차례다. [이후 10년이 더 지났으니, 전문 코치도 이제 Supervision Coach로 역할 바꿈을 시도하는 것이 어떨까 하는 시기에 이르렀고, 가정적으로는 대학생 첫 손자 포함 다섯 손주를 거느린 망팔(望八) 할아범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 전에 썼던 글을 찾아 갑신년을 기축년으로, 을유년을 경인년으로 바꾸어 넣으니, 6년이 지난 지금에도 그 내용이 그럴듯하게 들어맞는다. 변한 것은 겉모양일 뿐, 마음 공부에는 아직 큰 진전이 없었다는 부끄러운 말씀이다.[경자년, 신축년으로 각각 바꾸어 넣으면 오늘의 경우에도 잘 들어 맞는다는 것. 하하!]

각구주검을 주제로 한 중국의 우표. ⓒ 허달

나룻배를 타고 강을 건너던 얼빠진 무사(武士) 하나가 졸다가 손에 들었던 자신의 검(劒)을 강물 속에 빠뜨렸다. 빠진 자리를 표시해 놓아 나중에 그 검을 찾을 욕심으로 주머니칼로 뱃전에 표시를 해 놓았다는 중국의 고사(故事)를 일러 각주구검(刻舟求劒)이라 한다.

기축년(己丑年) 지나니 경인년(庚寅年) 아니냐고, 흐르는 세월의 뱃전에 주머니칼로 금[線] 하나 그어 놓고, 지난 한 해를 되돌아본답시고 책상머리에 앉은 내 꼴이 이 무사와 진배없다는 탄식이다.

불학(佛學)에 심(心)의 찰나(刹那)라는 말이 있다. 영어로는 Thought-moment라 한다는데, 본디 무상(無常)한 일체의 존재는 매 찰나마다 생주이멸(生住異滅)을 거듭한다는 뜻이니, 존재라 이름하는 바 환(幻)의 끊김과 이어짐[斷續]을 설명한 것이다.

내가 오래 전에 읽은 영어 불교입문서에는 '매 찰나 그대는 죽고 다시 태어난다[Every moment you die and reborn]'라고 직설적인 표현으로 쓰여져 있었다. 누군가의 해설을 빌리면 활동사진이 1초에 25장 화면[Frame]이 돌아감으로써 관객에게는 마치 연속하여 움직이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존재의 단속(斷續)이 중생에게는 연속하여 흐르는 것처럼 보이는 것도 이와 같은 착시 현상에 준한다는 것이다.

단속(斷續)하는 환(幻)의 찰나 그 화면[Frame] 사이에 금[線]을 긋는다면 아마도 그 금은 진공묘유(眞空妙有)의 '진공'일 것이니, 이로써 일순 온갖 환(幻)이 사라질 것이다. 금 긋기라면 뱃전에 어설픈 칼자국을 낼 것이 아니라 모름지기 이런 금 긋기를 해야 마땅할 것이다.

손지우손[損之又損], 덜어내자[損], 덜어내자 입으로는 6년을 별렀건만, 구두선[口頭禪]의 결과는 역시 별무신통이다. [17년을 별러도 또한 그렇다.]

흐르는 것처럼 보이는 시간 위에 금 하나 긋고 돌아보면 저 금과 이 금 사이에서 아직도 두 가지 상념이 떠오르는 것이 보인다.

구차스러운 안도(安堵-Comforts) 몇 가지, 그리고 아직도 착(着)을 내려놓지 못해 생겨나는 여러 가지 석념(惜念-Regrets)이다. 허구(虛構)로 만들어 놓은 대차대조표에 일상(日常)이라는 이름으로 무의미한 덧셈과 뺄셈을 되풀이 하고 있다.

나선(螺旋) 운동의 아름다움은 한 바퀴 휘돌아와서 자신이 떠난 자리를 내려다보는 데 있다고 한다.

한 해를 더 살고 되돌아와 경인년과 신묘년(辛卯年) 사이에 다시 뜻있는 금 하나 그을 수 있기를 희망한다. 아니 그것이 언제 오든, 마침내 삶과 죽음 그 심(心)의 찰나[thought-moment] 프레임 사이에 금 하나 그을 때, 오늘 떠난 이 자리를 넉넉한 마음으로 내려다 볼 수 있기를 희망한다.

각주구검(刻舟求劒) 표지 밑 거기, 시공(時空)의 강물 속에 제아무리 자맥질한다 해도, 마침내 잃어버린 검(劒)을 되찾을 수 없음을 스스로 이룬 지혜로 깨달아야 하지 않겠는가?

부끄러운 마음으로 금 하나 그어 다시 시작하자.

주머니칼로 뱃전에 그은 얼빠진 표지(標識)가 되든, 보리(菩提)를 찾아 떠나는 발심의 출발선[Start Line]이 되든 다 마음 먹기 하나에 달린 것 아니겠는가?

<현대불교 제766호 10.1.13. '허달의 불교와 코칭30', '뜻 있는 금 하나 그을 수 있기를'>

<끝>

어떤가?

신축년 새해 감상문으로 다시 써먹어도 좋을 듯 한데, 독자 여러분이 17년 씩이나 너무 게을렀다고 필자를 책 잡지나 않을지? 하하.


1943년 서울 출생 / 서울고 · 서울대 공대 화공과 · 서울대 경영대학원 졸업 / SK 부사장 · SK 아카데미 초대 교수 · 한국케미칼㈜ 사장 역임 / 한국코칭협회 인증코치 KPC · 국제코치연맹 인증코치 PCC 기업경영 전문코치 · 한국암센터 출강 건강 마스터 코치 / 저서 △마중물의 힘(2010) △잠자는 사자를 깨워라(2011) △천년 가는 기업 만들기(2012)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