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금융권, ESG 경영 속도 박차 '이젠 선택 아닌 필수'

'외국인 투자자' ESG 주요 투자기준 고려…5대 시중銀 중점업무

설소영 기자 | ssy@newsprime.co.kr | 2021.03.11 14:34:11
[프라임경제] 정부가 오는 2025년을 목표로 '탄소 중립'을 선언하면서, 금융권에서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부가 2025년을 목표로 '탄소 중립'을 선언한 가운데 금융권에서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에 박차를 가하는 분위기다. ⓒ 각 사

최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10개 시중은행장과 김광수 은행연합회장으로 구성된 은행연합회 이사진은 비대면 회의를 열고 'ESG 및 법무지원 전담부서' 신설 등의 내용이 담긴 조직개편안을 확정했다고 전했다. 이에 은행들은 ESG 경영을 강조하고, 전담 조직 및 이사회 산하 ESG 위원회를 신설하는 등 분주한 분위기다.

ESG 경영은 재무성과 외에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등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해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경영활동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업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5대 시중은행인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금융지주 회장들은 ESG 경영을 올해 중점업무 중 하나로 추진, 각종 ESG 관련 조직을 신설하고 확대 운영 중이다.

ESG 경영에 적극적인 KB금융은 중장기 로드맵인 'KB 그린웨이(GREEN WAY) 2030' 전략을 집중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017년대비 25% 줄이고, 현재 약 20조원 규모 ESG상품·투자·대출을 50조원까지 늘릴 예정이다.

아울러 환경을 위한 기후 변화 전략을 고도화하고 투명한 기업지배구조 확산 등을 추진한다. 그 중에서도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추진할 때 환경파괴나 인권침해 문제가 있으면, 대출을 하지 않는 '적도원칙'에도 참여한다. 이에 주요 계열사인 KB국민은행은 지난 4일 적도원칙에 가입하고, 해외 금융사를 벤치 마케팅 하는 등 단계별 프로세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신한금융은 친환경 전략인 '제로 카본 드라이브' 강화와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상생 생태계 구축'을 올해 주요 목표로 잡았다. 탄소배출량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등 친환경 금융의 새로운 표준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신한금융은 ESG경영 가속화를 위한 조직개편도 단행했다.

신한금융그룹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고객, 정부, 투자자, NGO 등 기업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향후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다양한 ESG 활동을 실천하며, 금융의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NH농협금융의 경우 최근 'ESG 전환 2025' 비전을 제시하고 ESG경영체제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또한 ESG 의사결정 체계 구축을 위해, 이사회 내 '사회가치 및 녹색금융위원회'와 회장 주관 'ESG 전략협의회'를 신설하기로 했다. 그룹 특성을 살려 '그린 임팩트금융(신재생에너지 투자)'과 친환경 농업 등을 지원하는 '농업 임팩트금융'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하나금융은 ESG 중심의 경영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 최근에는 임직원들의 생활속 ESG실천을 독려하기 위한 '하나 그린 스텝(Green Step) 5 캠페인'을 실시하기도 했다.

우리금융은 지난 2019년 그룹 차원의 ESG경영을 처음 도입해, 지난해 12월 그룹과 은행에 각각 ESG전담부서를 설립하고 ESG전략을 확대했다. 지난달에는 지주사와 자회사 대표이사 전원으로 구성된 '그룹 ESG경영협의회'를 신설해 그룹 ESG 경영에 대한 의사결정 효율성을 높였다.

이처럼 금융권들이 앞다퉈 ESG 경영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이유는 한국 자본시장에서 약 35%를 차지하는 외국인 투자자 때문으로 풀이된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ESG를 주요 투자 기준으로 고려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글로벌 성장에 있어 투자기준인 ESG가 크게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외국인투자자들이 ESG 조건을 갖추지 않은 기업과는 거래를 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질 수 있어 금융권도 앞다퉈 동참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