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대환대출 플랫폼 사실상 '무산?'…시중·지방은행 '희비' 교차

시중 "빅테크 입점, 수수료 부담" vs 지방 "지역한계 넘어, 고객확보 가능"

설소영 기자 | ssy@newsprime.co.kr | 2021.07.14 16:29:19

오는 10월로 예정된 비대면 방식의 대환대출(대환 갈아타기)가 은행권 거부 분위기 탓에 끝내 무산됐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오는 10월로 예정된 비대면 방식의 대환대출(대환 갈아타기) 플랫폼 구축 논의가 사실상 무산에 가깝다고 알려지면서, 시중은행과 달리 비대면 대환대출을 통해 고객 저변 확대를 꾀하려던 지방·저축은행들은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최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금융위)와 은행연합회 차원에서 추진해온 은행권 공동 대환대출 플랫폼 구축 논의가 시중은행들의 거부에 사실상 중단된 것에 가깝다고 알려졌다. 

대환대출 서비스란 금융 소비자가 여러 금융기관의 대출 금리를 한 번에 비교해, 금리가 낮은 곳으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다. 소비자들은 여러 대출상품을 한 눈에 비교하고, 금융기관 방문없이 기존 대출보다 유리한 조건의 대출로 한번에 갈아탈 수 있다.

금융위는 핀테크 기업 주도의 비대면 대환대출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들이게 유리한 대출로 이동하면 원리금 상환 부담 감소와 '신용도 상승'을 이룰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은행들은 자체 공동 플랫폼까지 거론하며 거부하자  사실상 무산된 상황이다. 

한편, 금융위는 핀테크나 빅테크 주도의 금리 비교 플랫폼 참여를 두고 은행의 자율적인 판단을 존중한다는 입장이지만,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공동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방안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뜻을 밝힌 바 있다.

이처럼 시중은행들이 자체 공동 플랫폼까지 거론하며, 대환대출 플랫폼에 반대하는 이유는 높은 수수료 부담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의 핀테크 플랫폼 이용이 빅테크에 입점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며 "자유롭게 대출을 갈아타게 되면 고객도 뺏기고 수수료까지 덧붙여 내게 되는 셈"이라고 토로했다.

하지만 시중은행과 달리 지방은행과 대형저축은행의 입장차이는 확연히 온도를 달리하고 있다.  

지방은행의 경우 대환대출 플랫폼이 구축되면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 더 많은 수의 금융소비자들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연유로 지방은행들은 보다 적극적인 비대면 대환대출 도입을 원하는 것은 물론, 핀테크 플랫폼과 협력 방안도 모색 중에 있다.

저축은행 역시 지방은행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입장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조달 비용이 갖춰진다면 고객 확대를 통해 합리적인 금리로 대출이 이뤄질 수 있다"며 "신용도에 따라 다양한 상품을 개발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고객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대환대출 플랫폼은 새로운 기회"라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