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손품발품] 끊이지 않는 여의도 잡음 "숙제 산더미"

재건축 및 공공임대주택 설립 등…해결 과제 '수두룩'

선우영 기자 | swy@newsprime.co.kr | 2021.07.19 14:22:39

여의도 아파트 지구 중 대장주로 꼽히는 '시범아파트' 전경. ⓒ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서울 '3대 도심 생활권' 하나인 여의도가 때아닌 몸살을 앓고 있다. 3년간 정체된 여의도 아파트 지구 재건축 사업 향방과 더불어 2년 실거주 의무 조항 백지화, 여의 성모병원 인근 공공임대주택 설립 갈등 등 적지 않은 후폭풍이 발발하면서 관련 업계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시범아파트를 비롯해 △삼익 △삼부 △한양 아파트 등 총 15개 단지로 이뤄진 여의도 아파트·금융 지구는 현재 약 8000세대가 거주하고 있는 금융 주거타운이다. 다만 해당 단지 대다수가 1970년대에 지어진 만큼 노후화된 주거 환경을 벗어나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 여의도 아파트 지구를 바라보는 가치 평가는 여전히 긍정적이다. 

우선 서울지하철 △여의도역(5·9호선) △여의나루역(5호선) △샛강역(9호선)과의 높은 인접성으로 교통 인프라가 우수하고, 마포대교 및 올림픽대로 등을 통한 서울 전역으로의 이동도 원활하다. 여기에 개통 예정인 여의도역으로 들어오는 △신안산선(2025년) △GTX-B(2027년) △서부선(2028년) 및 샛강역으로 진입할 신림선 경전철(2022년 6월) 등 교통 수혜도 예상되고 있다. 

나아가 인근으로 초·중·고등학교가 위치했으며, 더 현대 서울 및 IFC몰 등 생활 인프라나 한강공원 등 숲세권도 확보한 그야말로 '프리미엄 입지'라는 평가다.

이런 연유 탓에 향후 재건축 사업이 추진될 경우 '미국 맨해튼' 수준의 주거타운으로 변모할 것이라는 게 업계 분석이다. 다만 최근 해당 지역을 둘러싼 적지 않은 논쟁이 끊이지 않으면서 향후 이들 행보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폭되고 있는 양상이다. 

◆'숙원' 재건축, 마침내 정상 궤도 진입할까

"녹물 배관 문제와 같은 열악한 주거환경으로 주민들 삶의 질이 매우 떨어진 상태다. 그럼에도 불구, 재건축 사업이 장기화되면서 걱정이 컸었는데 이번만큼은 꼭 재건축을 이뤄내 숙원이 해결되길 진심으로 바란다."

사실 정부와 서울시 모두 이전부터 여의도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지난 2018년에는 서울시가 발표한 '종합 마스터플랜'에 포함되기도 했다. 다만 당시 집값 상승에 대한 불안감과 정치권 반대로 전면 보류됐다. 

여러 풍랑에 직면했던 여의도 재건축 사업은 오세훈 서울시장 당선 이후 새로운 국면을 맞아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여의도 11개 아파트 지구(빨간색)와 4개 금융지구(파란색) 지도. ⓒ 네이버 지도


실제 지난달에는 서울시가 11개 아파트 지구와 4개 금융지구 단지 대표 대상으로 지구단위계획 방향 설명회를 개최하면서 긍정적인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나아가 이해관계를 감안해 단지별 세부 간담회도 진행되고 있으며, 연말까지 해당 계획을 확정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한양 아파트 재건축추진준비운영위원회 관계자는 "3년간 보류됐던 재건축 사업이 다시금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라며 "향후 서울시와 협의를 이어가 재건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실거주 의무 "불만 폭발" 공공주택 둘러싼 갈등도 난제
 
이처럼 순항이 예고됐던 여의도 재건축 사업이 최근 또 다른 난관에 직면했다. 지난해 대책 발표 이후 지적이 끊이지 않던 '재건축 2년 실거주 의무 조항'이 돌연 백지화됐기 때문이다.

재건축 2년 실거주 의무 조항은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6.17 부동산 대책의 일환이다. 투기과열지역 내 재건축 단지 조합원은 실거주 기간 2년을 충족해야 입주권이 허락되는 조항이다. 

지난 1975년 준공된 여의도 한양아파트 사진. ⓒ 프라임경제


상대적으로 낙후된 여의도 단지는 열악한 주거환경 탓에 집주인들이 세입자를 들이고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다. 더군다나 매매가 대비 전세가격이 상당히 저렴해 세입자들로부터 많은 인기를 끌었다. 

인근 부동산에 따르면, 해당 조항 발표 직후 여의도는 크게 동요하지 않았다. 하지만 재건축 분위기가 형성되자 실거주 기간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수 집주인이 세입자와의 계약을 해지하는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해당 조항 여파로 전국적인 전세난이 발생하는 등 정책 부작용으로 인한 풍선효과가 만만치 않자 정부는 돌연 백지화를 선언했다. 

"실거주 의무 탓에 세입자와의 계약을 해지하고 1000만원 이상의 인테리어 비용도 감수했지만, 돌연 정책 취소 소식에 당혹감을 감출 수 없다. 이런 내실 없는 정책은 정부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으며, 여의도 재건축 정책도 신뢰하기 어렵다."

이외에도 최근 여의도는 성모병원 옆 '일자리 연계형 공공임대주택 설립'에 대한 불만도 극에 달하는 등 크고 작은 논란으로 골치를 앓고 있는 상태(본지 7월9일 '과천청사 철회'에 여의도마저 반발 "닭장임대 졸속 추진" 참조). 

과연 여의도가 일련의 사안들을 지혜롭게 해결, 향후 프리미엄 주거타운으로 거듭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