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이슈] 2030이 주도하는 노조 생태계 변화…커지는 '불공정 방지' 목소리

현대차·SK하이닉스 이어 서울교통공사 '올바른 노동조합' 구성…'영향력 적다' 지적도

김수현 기자 | may@newsprime.co.kr | 2021.08.24 10:29:41
[프라임경제] 콜센터 상담사 및 협력사 직원들의 직고용화를 두고 20~30대로 구성된 노조, 사무직들의 목소리가 뚜렷해지고 있다. 

올해 20~30대로 구성된 MZ세대를 중심으로 노동계의 새 지형이 감지되고 있다. 한편, 서울 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은 정부와 서울시가 노조의 요구에 응하지 않으면 오는 14일 파업에 돌입한다고 23일 밝혔다. ⓒ 연합뉴스


고용노동부는 서울교통공사 2030대 MZ세대 정규직 직원들이 속한 제 3노조 '서울교통공사 공정연대'가 서울동부지청에 노조 설립 신고서를 제출했다고 지난 11일 밝혔다. 

노조명은 '서울교통공사 올(all)바른 노동조합'으로, 민주노총 산하 노조 1만여 명, 한국노총 산하 노조 3000여명에 이어 500여명의 조합원으로 구성됐다.

이 같은 흐름의 배경은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기성 양대 노조와 지난 2018년 일반직으로 전환된 무기 계약직 1285명, 올해 자회사 방식을 통해 정규직으로 전환될 민간 위탁 콜센터 근로자 20~30명에 대한 반감으로 풀이된다.

서울교통공사는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지하철 이용객이 줄어들면서 지난해 당기순손실 1조114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도에 비해 2배나 급증한 수치로, 공사 총 정원 1만6500명의 10%가 넘는 2000여명을 해마다 줄이는 방안을 발표하는 등 인력 구조조정 개선에 나섰다.

올바른 노동조합은 SNS을 통해 "목표는 콜센터 직고용·자회사화 전면반대, 불공정한 일반직 전환 전면 무효화, 근무 개악 및 구조조정 반대, 4조 2교대 명문화"라며 "무기계약직 및 협력업체의 불공정한 정규직 전환을 거친 상황에서 경영 합리화 명목의 기존 공채직원 구조조정 및 근무개악에 반대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은 23일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와 서울시가 노조의 요구에 응하지 않으면 내달 14일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힌 상태다.

한편, 지난 2월부터 파업을 시작한 국민건강보험공단도 비슷한 양상을 이어나가고 있다. 노조 소속 고객센터 직원들은 건보공단에 직접고용을 요구하며 올해 2월부터 파업을 시작했고, 6월 2차 파업, 지난달부터는 3차 파업에 돌입했다.

건보공단 정규직 노조는 콜센터 직원 1600여 명을 직접 고용하는 것은 공정한 채용, 절차를 통해 높은 경쟁률을 뚫고 입사한 정규직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입장이다.

24일 기준 '건강보험공단 직고용·자회사·직영화·소속기관화 반대 전 국민 서명은 1만1085명이 참여했다. 그들은 "과도한 정규직, 직고용 전환을 시행한 이후 지난해 신규채용은 약 25.6% 감소했고 공공기관 인건비는 증가했다"며 "2030청년들의 일자리를 줄이는 무분별한 '비정규직 제로'정책은 중단되어야 한다"고 규탄했다.

또한 고객센터 직원들에 대해 "이들은 채용공고에 명확히 공고된 정규직으로 공공기관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에 따른 필수 전환 대상이 아니다"며 "공단 직원의 10%에 육박하는 1600여명의 콜센터 직원이 '국민의 알권리'를 지킨다는 이유로 국민을 볼모로 불공정 정규직화를 요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현대자동차·SK하이닉스·LG전자 등 대기업을 시작으로 점화된 MZ세대 사무직 노조는 코로나19로 인한 취업난과 공정한 성과보상을 정당한 가치로 여기는 청년층의 문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평가받는다.

최근 현대제철에서 협력사 직원들을 자회사에 채용하기로 하면서 사내 MZ세대를 중심으로 반발 분위기가 감지된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이들이 이렇다 할 성과를 거뒀다는 소식은 들리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존 노조의 한계를 극복하고 기준을 바로 세우겠다는 목표로 설립됐지만, 아직까지 조직 규모나 체계가 갖춰지지 않아 사측과의 협상력이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노동계 관계자는 "탈정치와 정당한 보상을 대표적인 가치로 내건 이들의 도전이 성공할지는 두고봐야한다"며 "공정함을 주력으로 세웠지만 여러 모순이 지적됐던 현 정부를 비판하는 젊은 세대와 맥락이 비슷하고, 양대 노조 중심으로 꾸려져왔던 과거를 벗어나 향후 새로운 기준을 정립하는 중요한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