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한국거래소, 올해 40여곳 상장폐지 심사 "나 떨고 있니?"

허술한 내부감시 체제 탓, 임직원 횡령·배임 리스크 유독 많아

김기영 기자 | kky@newsprime.co.kr | 2022.01.07 20:07:51
[프라임경제] 오스템임플란트(048260) 1880억원 횡령 사건으로 투자자들의 불신이 증폭된 가운데, 올해 상장폐지 실질심사 대상 38개사가 상장폐지 기로에 놓여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올해 코스닥 상장사 38개사가 상장폐지 기로에 놓여있다. ⓒ 한국거래소

특히 올해 상장폐지 심사 대상 가운데 횡령·배임 문제가 발생한 △스킨앤스킨(159910) △신라젠(215600) △경남제약헬스케어(223310) △코오롱티슈진(950160) 등은 오스템임플란트 횡령 배임과 더불어 다시 재조명되고 있다.

우선 가장 먼저 상장폐지 심판대에 오르는 곳은 화장품 제조 및 마스크 유통 업체 스킨앤스킨이다. 

스킨앤스킨 주요 경영진은 지난 2020년 6월 회사 자금 150억원을 마스크 구매에 사용하는 것처럼 속여 횡령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 자금은 옵티머스 사모펀드 환매 중단을 막기 위한 펀드 돌려 막기 용도로 사용된 것이라 조사됐다.

코스닥 시장위원회는 이달 중순까지 스킨앤스킨에 대한 상장폐지 여부를 회의를 통해 공개할 계획이다. 

신라젠도 이달 중순 상장폐지 여부가 결정난다. 한국거래소는 오는 18일 기업심사위원회(이하 기심위)를 열고 상장폐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신라젠은 지난 2020년 5월4일 경영진 횡령 및 배임 혐의로 주식거래가 정지됐지만, 그 해 11월 한국거래소로부터 1년 개선 기간을 부여받았다. 거래소는 거래재개를 위한 경영정상화 요건으로 △경영진 전면 교체 △대규모 자본금 확보 △지배 구조 개편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신라젠은 두 차례 유상증자를 통해 1000억원 실탄을 확보해, 거래소가 요구한 500억원(신규 최대주주 지분율 15%) 이상 투자 유치 요건을 이행했다. 또한 지난해 8월 임시주총과 이사회 의결을 거쳐 경영진을 교체하기도 했다.

거래소가 이번 기심위에서 신라의 상장 폐지 여부를 결정해도 신라젠은 한 번의 이의 신청을 할 수 있으며, 이의 신청을 하면 거래소는 다시 기심위 상급 기관인 코스닥 시장위원회를 열어 최종 상장 폐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신라젠은 한때 항암 바이러스 신약 펙사벡 임상에 대한 기대감으로 시가총액이 10조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지난 2020년 4월 경영진의 횡령 및 배임 혐의가 발각되며 상장폐지 실질 심사에 들어간 경남제약헬스케어도 이달 상장폐지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당시 주요 경영진 3명이 자기자본 3.15%에 해당하는 13억6000만원 규모를 횡령했다.

경남제약헬스케어는 지난 5월 거래소에서 개선 기간을 부여받는데 성공했지만, 횡령 및 배임에 이어 불성실 공시 누적 벌점, 적자 누적 등으로 '상장폐지' 심의를 받으며 거래재개엔 실패했다.

지난 2019년 5월 주식 거래가 정지된 코오롱티슈진은 마지막 기회인 3심째를 맞이한다. 

지난해 12월17일 개선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경영개선계획서 제출 기한이 7일부로 만료됐다. 이에 코오롱티슈진은 경영개선계획 이행내역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코오롱티슈진 상폐 여부를 결정할 심사에 앞서 회사 측이 이행해야 할 마지막 절차다. 거래소는 코스닥시장위원회 심의를 거쳐 오는 2월9일(20영업일) 이내에 상폐 여부를 심의 및 의결할 예정이다. 

상폐 위기 원인은 세계 최초 골관절염 세포 유전자 치료제 인보사로 코오롱티슈진은 인보사 주요 성분을 연골세포로 기재했는데, 이것이 신장세포였다는 점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다만 이번에 상장 유지 결정이 내려져도 주권 거래 정지는 지속된다. 작년 7월 전직 임원의 횡령·배임 혐의와 감사 의견 변경 사유로 올해 8월31일까지 또 다른 개선 기간을 부여받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난해 8월 열린 기업심사위원회에서 부여한 개선기간 종료일(8월31일) 후에 기업심사위원회를 열어 상장폐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이 같은 횡령 및 배임은 ESG 이슈가 사회전반에 퍼지며 기업 경영 투명성 확보가 중요해진 시대적 흐름에 역행하는 사건"이라며 "코스닥을 살리려는 모든 시장 관계자들의 노력을 후퇴시킨 이들에 대한 엄중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