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투자시장 얼어붙은 스타트업계, 생존 게임 본격화되나

美 금리인상 · 러우전쟁 영향, 성장 가능성보다 수익 여부 초점

김수현 기자 | may@newsprime.co.kr | 2022.06.09 14:08:25
[프라임경제] 전례가 없는 성과를 누렸던 글로벌 스타트업 투자 시장이 미국의 금리 인상과 기술주 약세, 중국의 테크 기업 규제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위기로 주춤하고 있다. 제2 벤처붐을 맞이했던 국내 스타트업 시장도 생존 게임이 시작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글로벌 스타트업 투자 시장이 미국의 금리 인상과 기술주 약세등의 영향으로 얼어붙고 있다. ⓒ 연합뉴스


◆몇 달 새 투자금액 폭삭…빠른 성장 반작용 지적도

'스타트업 거품론'의 시작점은 미국 실리콘밸리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등 세계적인 빅테크 우량 기업의 시가총액은 올해 들어 2조 달러 이상 감소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 · 중국 봉쇄령 · 러·우전쟁 영향 등의 여러 악재가 영향을 끼쳤다. 

'큰 형님'격 빅테크가 휘청이니 비상장 테크 기업인 스타트업에 대한 가치 평가도 달라졌다. 투자자들은 고평가 기조를 버리고 더 명확한 이윤을 보장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불과 몇 달 전 투자자금이 넘쳐났던 분위기와 정반대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피치북에 따르면 2021년 스타트업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벤처캐피털(VC) 펀드에 모인 자금의 규모는 1320억달러(약 167조원)다. 2019년에 비하면 두 배가 늘었고, 10년 전에 비하면 6배가 성장했다. 하지만 올해 1분기 미국 VC 투자 규모는 지난해 4분기 (950억달러(약 120조원) 대비 26% 줄었다.

발을 빼고 있는 글로벌 VC의 움직임에 국내 스타트업 기류도 심상치 않다. 국내 벤처투자 규모는 올해 1분기 최초 2조원을 돌파, 제 2벤처붐의 기세를 이어가며 유망 스타트업에 대한 대형 투자를 지속했다.

하지만 최근 미국 투자자들이 규모를 줄이고 있는 만큼 국내 벤처투자생태계에도 부정적인 분위기가 감지된다. 부쩍 살벌해진 VC의 눈높이를 맞추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거나, 엑셀러레이터에게도 까다로운 질문을 하는 투자자들이 많아졌다는 소식이다. 정부 주도의 빠른 창업생태계 조성에 대한 반작용으로 질적 성장에 대한 기준도 높아졌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한 엑셀러레이터 관계자는 "아직 국내까지 여파가 크진 않다. 하지만 조만간 (여파가) 올 것으로 생각한다"며 "지금까지 투자·지원금들이 많이 몰려왔지만 예상보다 스타트업의 성장은 더뎠기 때문에, 스타트업 투자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하는 입장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벤처캐피털·엑셀러레이터 "몸값 꺼질 것, 건실한 성장성 보여줘야"

스타트업의 위기라 불리는 현 상황을 국내 벤처캐피털 및 엑셀러레이터들은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중앙일보 팩플팀에 따르면 지난 5월26일부터 30일까지 국내 주요 벤처캐피털 및 엑셀러레이팅 법인 등 벤처투자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매쉬업엔젤스 △퓨처플레이 △네이버D2SF △스파크랩 △캡스톤파트너스 △뮤렉스파트너스 △디캠프 △임정욱 TBT 벤처파트너 △김도현 국민대학교 교수 등 총 9인이 응답했다. 

응답자 9명 중 7명(77%)은 시장 상황 변화에 따라 기술기업들의 몸값이 계속 꺼질 것이라는 전망, 일명 '테크버블'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특히 펀드를 조성·운용하는 투자법인(7명)으로 좁히면 70%가 '그렇다'고 답했다. '대체로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9명 중 1명(11%)에 그쳤다.

M&A을 통해 스타트업이 활발히 확장해가던 분위기도 한층 누그러졌다. 영국 런던에 기반을 둔 데이터 분석·컨설팅 회사 글로벌데이터(Global Data)는 2022년 1분기 글로벌 M&A 활동이 2021년 4분기보다 23% 하락한 7250억 달러(898조 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쟁으로 인한 불확실성, 공급망 마비 등에 따라 추후 기업 거래 속도는 둔화할 전망이다. 

한편, 일각에선 이러한 위기를 국내 스타트업 벤처시장이 성장할 수 있는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급격한 성장에 수반된 약한 성장성을 보완할 기회라는 뜻으로, 이제부터는 '양보다 질'을 관리할 시점이라는 것. 

실제로 윤정부는 중소기업의 약한 성장성을 보완하기 위해 중소기업의 생존을 위한 '지원' 위주의 정책에서 근본적 경쟁력 제고와 기업의 혁신성장에 집중하는 성과창출형 정책으로 전환했다.

중소기업의 성장을 저해하는 각종 제도적 걸림돌을 찾아 제거하고, 기업 성장의 핵심요소인 생산성·기술경쟁력 향상을 견인하겠다는 취지다. 벤처 업계의 오랜 숙원이던 복수 의결권 도입 역시 추진한다.

현장에서도 보다 현실적인 수익 여부와 시장 전망을 중점으로 삼고 속도를 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건실한 성장성을 보여주는 기업에 공격적으로 투자금이 몰리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예상한다"며 "미래 성장 가능성만 가지고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 수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