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화물연대 파업' 일단락에도 잿빛 전망, 험난할 자율주행 상용화?

안전운임제 연장·확대로 향후 파업 우려…인력 감소 불가피해 노조리스크 상존

전대현 기자 | jdh3@newsprime.co.kr | 2022.06.15 20:23:05
[프라임경제] 지난 7일부터 진행된 화물연대의 파업이 가까스로 마무리되며 막혔던 물류 배송에 숨통이 트이고 있다. 그러나 파업 중단을 위해 국토교통부와 화물연대가 합의한 내용이 당장 급한 불 끄기에 그쳤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이번 합의가 안전운임제 일몰제를 한 번 더 연장하는 방안으로 추진됐을 뿐 아니라 안전운임 적용 품목 확대까지 논의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지난 2020년 시행된 안전운임제는 3년간 한시적으로 시행될 계획이었으나 이번 화물연대 파업으로 또다시 3년간 일몰이 연장될 예정이다. 이에 일몰 시점이 다가오면 또다시 파업이 일어나는 것은 예정된 수순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아울러 기존 시멘트와 컨테이너 2개에만 한정됐던 안전운임 적용 품목이 대폭 늘어나 영향을 받는 업계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같은 이유로 파업이 일어난다면 규모나 강도는 더욱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는 이 같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화물 자율주행 상용화가 조속히 이뤄져 업계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화물업에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되면 파업으로 인한 물류난을 비롯해 △인건비 절감 △운송비용 절감 △화물차 회전율 상승 등 여러 이점이 발생한다.

민주노총 화물연대가 파업을 철회하자 육상 운송이 재개됐다. ⓒ 연합뉴스


이에 국내 화물차의 자율주행은 군집주행을 통해 선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진행 중인 군집주행은 선두 차량에만 운전자가 탑승하며 뒤이어 오는 후행 차량들은 운전자 없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주행하는 기술이다. 

군집주행은 화물차마다 운전자를 배정할 필요가 없어 인건비 절감에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정부에서도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탁세현 한국교툥연구원 자율협력주행연구센터 부연구위원은 "자율주행 레벨 수준에 따라 상용화 시점은 각기 다르지만 군집주행은 근 시일내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특히 군집주행은 라스트 마일(최종 배송단계)이나 퍼스트 마일(출고 단계)을 제외한 미들 마일 영역에서 2~3년 안에 상용화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아가 업계는 화물 수송에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되면 물류난을 대폭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기존 화물업 종사자의 안전을 위해 적용되던 운행시간 제한이 필요하지 않아 회전율을 크게 높일 수 있어서다. 

현재 정부는 모든 구간에 무인운행이 가능한 완전 자율주행이 이뤄지는 시점을 2027년 정도로 잡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화물 운송 비용은 기존 대비 45%가량 절감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많은 상용차 업체에서는 자율주행 분야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기술력 또한 상당히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현대차는 미국자율주행 업체 오로라와 협업해 운전자는 물론 군집주행도 필요없는 자율주행 트럭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 같은 흐름은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일례로 미국에서는 이미 자율주행 가능한 화물차의 비중을 높이고 있다. 특히 페덱스(FEDEX)와 같은 물류 회사는 화물차뿐 아니라 자울주행 배송 로봇 '록소' 등을 활용한 다양한 물류 사업을 진행 중이다.

고속도로를 군집주행으로 달리고 있는 현대차 엑시언트 자율주행트럭. ⓒ 현대자동차


이를 통해 페덱스는 배송료의 80%를 차지하는 높은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보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미국 내 로지텍스 기업 전반적으로 이어져 △아마존 △소프트뱅크와 같은 기업도 무인배송 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화물차 자율주행이 활성화되면, 인력 감소가 발생할 수밖에 없어 노조의 반발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내는 화물 운송사업자 중 영세사업자 비중이 상당해 즉시 일자리 감소로 인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9년 기준 국내 화물 수송은 2019년 기준 △화물차 92.6% △철도 1.4% △해운 6.0%로 화물차의 비중이 절대적이다. 

기업 입장에서는 갈수록 높아지는 인건비에 노조리스크에 매년 고충을 겪고 있어 향후 화물 자율주행은 필수적이지만, 노조의 반발로 발목을 잡힐 가능성이 농후해 상용화까지 험난한 과정이 예상된다.

이에 향후 화물차의 자율주행 기술 발전이 레벨 4단계에 이르더라도 즉시 운송업에 적용되지 못할 가능성이 커 우려는 날로 무게를 더하고 있다.

탁세현 부연구위원은 "일자리 감소 문제는 사회적으로 여러 이슈가 얽혀진 문제라 의견이 분분하다"라며 "최근 국내 자율주행 사업이 빠르게 진행하고 있는 만큼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시장 상황을 지켜봐야할 것 같다"고 진단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