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IMF와 함께 사라진 충청권 지방은행…본격 설립 '가시화'

충청도 열악한 금융환경 타파,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 완성 목표

이창희 기자 | lch@newsprime.co.kr | 2022.06.24 18:28:28

충청남도청이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1998년 부실은행으로 지정돼 퇴출당한 충청은행 전경. ⓒ 충청남도청


[프라임경제] 최근 충청남도청이 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본격화하면서 중부 지방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충청남도청은 지역균형발전 일환으로 지방은행을 설립해 지방자치제 실현과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을 완성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충청권은 한때 충청은행과 충북은행이 지방은행으로 존재했다. 그러나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충청은행이 1998년 부실은행으로 지정되고 충북은행 역시 경영개선조치를 받게 되면서 각각 하나은행·조흥은행(현 신한은행) 등에 흡수합병됐다. 

이에 따라 현재 지방은행은 △부산 △경남 △대구 △전북 △광주 △제주 등 총 6곳이 존재하며 현재 충청과 강원도는 부재인 상황이다.

◆ 인터넷 기반 복합형태, 본사 후보지 '경제수요 上 지역' 유력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충청남도청은 △충남 △대전 △세종 △충북 권역의 지방은행으로 '충청지방은행(가칭)'을 설립안으로 내세웠다. 해당 설립안은 은행법과 인터넷전문은행법에 의거한 '인터넷 기반 복합형태' 지방은행을 만들어 하이브리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게 골자다.

충남도청에 따르면 기존 은행이 초기 고정비용이 높아 향후 수익성 창출에도 어려움이 예상되며 인터넷 전문은행은 지방은행으로서 포지셔닝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은행 강점과 디지털 기능을 접목시킨 복합형태 지방은행을 구축해 본·지점을 공공기간 활용 등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게 도청 측 설명이다.

충청남도청은 지역은행 설립을 위해 △빅테크 및 대기업(금융플랫폼 사업자 포함) △참여의사 금융회사(금융지주사·증권사·기타 정부투자기관) 등 투자자를 모집해 대주주로 참여시킬 예정이며, 지역 중소기업 및 도민, 시‧도 상공회의소 등을 기타주주로 유도할 방침이다. 또한 충청권 4개 시‧도가 일정부분 지분에 참여해 경영의 공익적 가치를 확보한다고 밝힌 바 있다. 

지방은행 인가를 담당하고 있는 금융위원회도 충청권의 본격적인 지방은행 설립 추진을 인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충청남도청 관계자는 "지난 8일 지역 국회의원들과 진행한 지방은행 설립 현실화를 위한 정책토론회에 금융위도 참여해 같이 의논했다"고 밝혔다. 

금융업계에서는 벌써부터 충남 지방은행 본점 위치로 △내포 △천안 △대전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취재에 응한 충청남도청 고위 관계자는 "본점 위치는 향후 지방은행을 경영할 대주주가 누구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현재까지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현 상황에서 밝히면 어려운 면이 있지만 경제수요가 가장 많은 지역이 유력 후보지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해당 권역에서 경제 수요가 많은 곳은 충청도와 대전광역시가 지난해 12월말 발표한 '2019년 지역내총생산(GRDP)' 통계를 살펴보면 △대전43조1000억 △청주 34조9657억 △아산 29조 △천안 24조2000억원 순이다.

◆ '대출 불균형‧자본 역외유출' 해소 절실

현존하는 지방은행들은 영‧호남과 제주에 국한된 상황이다. 이에 충청남도청은 중부지역 지방은행 부재로 인한 △기업 대출 불균형 문제 △자본 역외유출 △금융 양극화 심화 등 지역 금융서비스가 불균형을 우려해 지방은행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충청남도청은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필요성으로 '금융 양극화 심화' 문제를 강조했다. ⓒ 충청남도청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020년말 기준 기업대출금액 현황은 △부산 90조원5016억원 △대구 66조3047억원 △광주 29조9264억원 △경남 64조4671억원 △제주 15조257억원 △전북 30조6776억원 △충남 34조2211억원 △충북 24조9591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기업대출금액과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2020년 시‧도별 사업체 수 잠정치와 함께 살펴보면 1개 업체당 대출금액은 △부산 2억2500만 △대구 2억3400만 △광주 1억7600만 △경남 1억6600만 △제주 1억5900만 △전북‧충남 1억3600만 △충북1억3000만원 가량으로 충청권 기업대출이 저조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충청권은 지역 금융경제 낙후에 따른 자본 역외유출도 심각한 상황이다. '2020년 전국 역외유출률'에 따르면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는 역외유출이 약 △23조원(20.2%) △12조8000억원(18.0%)으로 전국 1,2등 수준이다. 또한 역내유입률은 충청남도와 충청북도가 각각 △79.8% △82.0%로 전국 최하위를 차지하고 있다.

충청남도청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필요성으로 '금융 양극화 심화'에 대한 문제를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충청권 지역내총생산(GRDP)은 약 242조원 수준으로 타 지방은행 소재 지역의 경우 충청권보다 높지 않고 부산‧울산‧경남 수준과 비슷한 규모인데, 지방은행조차 존재하지 않는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아울러 "GRDP를 점유율로 봤을 때 실물경제부분(11~12%)대비 금융경제부문(6~7%)이 저조해 상대적으로 금융이 열악하며 금융 양극화 현상이 심화된 점을 확인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충청남도청은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시 충청도 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지역 대규모사업 금융공급 등을 통해 △생산 3조5000억원 △부가가치 2조원 △고용 2086명 가량 유발효과가 나타나 지역 경제에 파급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충청권 지방은행 추진은 정치권에서도 힘을 보태고 있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8일 정책토론회에서 "지역경제 활성화와 금융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은 매우 절실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지방은행 설립으로 효과적인 지역 자금 조달과 지역 자영업자 및 소상공인의 금융 활동을 지원하고 충청권 중소기업 육성에 앞장서야 할 시기이다"고 강조한 바 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