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금융권·건설업계 '부동산 PF 적신호' 놓고 책임 소재 공방

"건설업 투자 신뢰 추락" VS "현명한 선택…PF 조건도 무리"

전훈식 기자 | chs@newsprime.co.kr | 2023.02.15 10:02:58

정부 유동성 공급대책으로 간신히 진정국면에 접어들었던 부동산 PF 부실 논란이 대우건설 '울산 주상복합 사업 철수' 여파로 재차 수면 위로 부상하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지난해 레고랜드 사태 이후 정부 유동성 공급대책으로 간신히 진정국면에 접어들었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이하 PF) 대출 시장이 재차 수면 위로 부상하는 모양새다. 특히 금융권과 건설업계가 대우건설 '울산 주상복합 사업 철수' 책임 소재를 두고 극명한 이견을 드러내고 있다. 

대우건설이 최근 전체 사업비 1조원 규모 '울산 동구 주상복합 개발사업' 시공권을 반납하자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업계에 따르면 사업 시행사는 토지 매입과 인허가 비용 등을 마련하기 위해 자체 자금 100억원을 투입하고 증권사 및 캐피털사 '브릿지론'을 통해 900억원을 조달받았다. 이중 대우건설은 후순위 대출 440억원을 보증하고, 공사비로 1600억원을 받기로 했다.

하지만 대우건설은 브릿지론에서 PF 대출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책임준공확약 대신 400억원 상당 후순위채권을 자체 자금으로 상환했다. 기존 공사비 등 조건으로 사업을 강행할 경우 손실 규모가 천문학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판단, 보증 대출 손실 발생에도 시공권 포기를 결정한 것이다. 

"규모에 맞는 책임 있는 행동을 요구되는 1군 건설사가 브릿지론 디폴트를 추진해 건설업계 전체에 대한 투자자 신뢰를 추락시켰다."

하지만 대우건설 '울산 사업 철수'를 두고 금융권 반발이 거세다. 특히 여전히 시장 경기가 침체된 가운데 이번 사태마저 불거지면서 금융권 PF 부실 우려가 재차 대두되는 점을 경계하는 눈치다. 

사실 금융권 내 부동산 PF 대출 부실은 이미 심각한 수준을 넘어섰다.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신용카드사를 제외한 전 금융권 부동산 PF 연체 잔액(지난해 9월 기준)은 1조1465억원이다. 이는 2021년 말(4838억원)과 비교해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여기에 지속되는 경기 침체 장기화로 부동산 PF 부실 경고등은 켜진 상태. 

금융권 관계자는 "가뜩이나 부동산 PF 부실 논란이 이어졌던 만큼 금융권 내 건설 관련 투자에 있어 소극적으로 바뀔 것"이라며 "때문에 규모가 넉넉지 않는 중소 건설사들의 자금난은 불가피하다"라고 전했다. 

여기에 저축은행보단 증권사 및 캐피탈사와 같은 금융사들의 금융권 피해도 우려되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증권사와 캐피탈사 등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PF에 있어 공격적 행보를 통해 실적 개선을 이뤄낸 바 있다. 하지만 이들 금융권들, 특히 중소금융사들이 경기 침체로 인한 유사 사례가 전국 단위로 발생하는 경우 대처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대우건설 철수 결정에 반발하는 금융권과 달리 건설업계는 '손실을 최소화한 현명한 선택'이라는 입장이다.


이런 금융권 반발과 달리 건설업계는 '손실을 최소화한 현명한 선택'이라는 의견이다. 대규모 손실이 확실한 상황임에도 불구, 사업을 강행했다면 위험부담이 결코 적지 않았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뿐만 아니라 대주단 본 PF 금융 조건도 무리한 수준이었다는 게 업계 후문이다. 지난해 4월 도급계약 당시 예상 PF 조건은 △금리 5%대 △수수료 1% 수준. 하지만 최근 기준금리 인상 등을 이유로 △금리 10% △수수료 11%로 증가했다는 지적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금융사들은 리스크를 우려해 보다 높인 금리는 대우건설이 체감하는 사업성을 악화하기에 충분했다"라며 "물론 대우건설이 금리 조정을 위해 수차례 협의를 진행했지만, 결국 실패한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귀띔했다. 

금융권과 건설업계 모두 이번 사태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부동산 PF 부실이 겉으로 드러날 것으로 바라봤다. 레고랜드 사태 이후 불거진 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등은 정부 유동성 공급대책 효과로 진정국면에 접어들었지만, 여전히 실물 부동산 PF 시장은 살얼음판이라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레고랜드 사태 당시 제기된 부동산 PF 논란은 만기 연장 때문"이라며 "반면 이번 사태는 시장 침체에 따른 미분양이 원인인 만큼 시장 회복 없인 유사 사태가 전국 단위로 발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처럼 대우건설 '울산 사업 철수'를 바라보는 금융권과 건설업계 시선이 크게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부동산 PF 사업 정책을 제시하며 시장 안정화를 꾀할 수 있을지 관련 업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