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주총 맞이한 건설업계 "핵심은 경영 안정과 신사업"

'내실 다지기' 경영 안정 이사진…신사업 확보 위한 정관 변경

전훈식 기자 | chs@newsprime.co.kr | 2023.03.18 19:54:16
[프라임경제] 본격 주주총회 시즌을 앞둔 건설사들이 △사업 다각화 △이사진 구성을 통한 경영 안정 △다양성 확보 등을 주요 안건으로 다뤄질 예정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16일 삼성엔지니어링을 시작으로 △17일 삼성물산 △20일 포스코건설 △23일 현대건설·DL이앤씨·한신공영 △24일 GS건설·HDC현대산업개발·LX하우시스·태영건설·KCC건설 △28일 대우건설·코오롱글로벌·금호건설·계룡건설산업 △29일 한화 건설부문 등 순차적으로 주주총회(이하 주총)를 실시한다. 

지난해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등에 따라 건설사 주주총회 화두였던 안전관리와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과 달리 올해 핵심은 경영 안정과 신사업으로 꼽힌다. 특히 법률가·법조인·경영인 등을 중용하거나 기존 이사들을 재선임하는 등 다수 건설사들이 경영 안정화를 위한 이사진을 구성하는 등 내실 다지기 움직임이 두드러진다.

© DL이앤씨


실제 지난해 주총에서 사업 목적에 새 항목들을 추가했던 DL이앤씨는 올해 경영 안정에 심혈을 기울일 분위기다. 이에 '관리회계 분야 전문가' 신재용 교수(서울대 경영대학)를 사외이사로 선임할 계획이다. 

지난해 ESG 위원회 신설을 통해 ESG 경영 실행력을 강화했던 삼성엔지니어링 역시 새로운 이사진 구성을 통해 경영 안정화에 나선다. 이에 주총에서 현건호 플랜트사업본부장을 사내이사로 선임하고, 김용대 법무법인 도울 대표변호사를 사내이사로 선임한다. 

삼성물산의 경우 정해린 삼성물산 리조트부문 사장 겸 삼성웰스토리 대표이사를 사내이사로,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을 사외이사인 감사위원으로 새롭게 선임한다.

현대건설 임기가 끝나는 사외이사를 중용할 방침이다. 김재준 교수(한양대 건축공학부)와 서울지방법원 판사를 지낸 홍대식 교수(서강대)를 3년 임기로 재선임할 예정이다. 

GS건설은 허창수 회장을 사내이사로 재선임, '동생' 허진수 GS칼텍스 상임고문 비상무이사로 재선임한다. 대우건설은 '정창선 중흥그룹 회장 사위' 김보현 부사장을 사내이사로 신규 선임하는 안건을 상정한다. 

아울러 건설업계는 이번 주총을 통해 침체된 부동산 시장에서 이겨내고 위해 전통 영역이었던 건설 분야를 탈피, 새로운 사업 모델 찾기에 나섰다.

© 현대건설


우선 현대건설은 재생에너지 PPA(Power Purchase Agreement, 전력 구매 계약) 사업 추진을 위해 주총 안건으로 '재생에너지 전기공급사업 및 소규모 전력중개사업'을 신설하는 정관 변경의 건을 상정했다. 안건 통과시 재생에너지 전력구매계약 사업 등 신사업 추진에 나서는 등 신사업 키워드 비중을 높였다.

현재 현대건설은 서산 태양광 발전소·제주 한림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 등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재생에너지 전력중개 사업 영역으로도 진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9월부터 직접 PPA제도가 도입되며 전력중개사업과 소규모전력중개시장의 진입장벽이 낮아진 바 있다.

포스코건설도 신성장 사업에 힘을 보태기 위해 사명까지 변경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최근 환경(eco)과 도전(challenge)이란 뜻이 담긴 '포스코이앤씨(E&C)' 상호 가등기를 신청, 이번 주총에서 관련 안건을 의결할 분위기다. 

한편 DL이앤씨의 경우 지난해 주총에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및 탄소자원화 사업 설계·시공 및 운영에 관한 일체 사업을 포함해 △온실가스배출권 거래업 △고압가스 저장 및 운반업·위험물 저장 및 운반업 △신기술 관련 투자·관리 운영사업 및 창업지원 사업 등을 사업 목적에 추가한 바 있다. 

이외에도 한신공영은 사업 목적에 △통신 및 방송장비 제조업 △통신·방송장비 및 부품 도·소매업 △전자상거래업,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공급·서비스업 등을 추가해 포트폴리오 확장을 추진한다. KCC건설은 건설엔지니어링업을 추가, 건설사업 프로젝트와 비용·일정·품질·계약관리 업무 등 전문 서비스를 하는 건설사업관리(CM)를 신규 등록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다수 매출 60~70% 이상을 차지하던 주택 사업이 지속되는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건설사 경영에 차질이 발생하기 시작했다"라며 "이에 따라 정관 변경 등을 통해서라도 새로운 먹거리 확보가 가장 중요한 안건"이라고 설명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