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삼성물산 작업중지권, 근로자 안전환경 조성에 효과

글로벌 113개 현장 3년 30만건…업계 대표 안전문화로 확산

박선린 기자 | psr@newsprime.co.kr | 2024.04.15 14:02:26

경기도에 위치한 한 건축현장에서 근로자들이 작업중지권 현수막을 확인하고 있다. © 삼성물산


[프라임경제] 삼성물산(028260)이 근로자 작업중지권 전면 보장(2021년) 이후 국내외 113개 현장에서 총 30만1355건을 기록하며 '근로자 스스로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드는' 안전 문화로 자리하고 있다.

작업중지권은 급박한 위험 또는 중대재해 발생시 근로자가 작업을 중지할 수 있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보장된 권리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작업중지권을 전면보장하고, 근로자 포상 및 협력업체 손실 보장 등 안전 문화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삼성물산에 따르면, 건설 현장 근로자가 작업중지를 하루 평균 270건을 행사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면 보장 실시한 2021년 8224건을 기록한 이후 △2022년 4만4455건 △2023년 24만8676건으로 매년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당장 급박한 위험 방지 차원을 넘어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수단으로 작업중지권 행사가 일상화되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작업자들이 중지권을 행사하는 주요 위험 원인은 △근로자충돌·협착(31%) △추락(28%) △장비전도(24%) 순이다. 이는 충돌·협착·추락·전도 등 중대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 상황에 대한 작업중지가 전체 80% 이상에 달했다. 이외에도 폭염‧폭우‧미세먼지 등 기후 관련 작업중지도 늘어나고 있다. 

아울러 작업중지권은 다양한 안전 제도와 함께 현장 발생 재해를 줄이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삼성물산이 자체 집계한 휴업재해율(근로자가 1일 이상 휴업하는 재해 발생 비율) 결과, 전면 보장 첫 해인 2021년부터 매년 15% 가까이 감소했다. 

삼성물산은 '작업중지권 30만건' 기점으로 4월 한 달간 현장별로 근로자 포상과 작업중지권 활용 독려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지난 3년간 근로자 2만2648명이 작업중지권을 통해 자발적으로 안전한 환경 조성에 참여했다. 100건 이상 중복 활용한 근로자는 210명에 달했으며, 가장 많은 작업중지권을 행사한 근로자는 597건이다. 

작업중지권을 자주 행사한 근로자 강병욱씨(63세)는 "불이익이나 다른 근로자 불만 등을 걱정했지만, 근로자 한 마디에 현장이 변화하는 걸 느끼면서 적극 활용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뿐만 아니라 작업중지권으로 인한 공기 지연 및 인력 추가 투입 등 협력업체 비용 증가에 대한 보상도 자리 잡아가고 있다. 실제 삼성물산은 총 13개 업체 391건에 대한 작업중지권 관련 비용을 정산 과정에서 반영했다.

삼성물산이 현장 근로자 3832명 대상으로 작업중지권 효과에 대해 조사한 결과, 대부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설문 참여 근로자 92%가 안전에 높은 기여를 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적극 활용하겠다는 반응이다. 

작업중지권 긍정적 효과로는 △위험 상황을 스스로 판단할 수 있다(67%·2563명)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64%·2466명) △근로자가 존중받는 분위기 조성(23%·868명) 등이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근로자 93%는 다른 건설사 현장에도 작업중지권 제도 행사 의향을 밝히는 등 근로자들도 작업중지권이 현장 전반에 확산될 핵심 안전제도로 인식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삼성물산은 현장에서 일상적으로 자리 잡고 있는 작업중지권이 보다 활성화되고, 현장 안전 효과를 극대화도록 제도 개선과 교육 등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위험발굴 어플리케이션 S-TBM 화면. © 삼성물산


자체 개발한 현장 위험 발굴 어플리케이션 'S-TBM'을 모든 현장에 적용해 근로자가 쉽게 위험 상황에 대한 작업중지를 활용하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또 앱을 통해 위험 상황 개선 결과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단순히 눈에 보이는 위험 상황에 대해서만 조치를 요구하는 것을 넘어 근로자들이 적극적으로 위험을 예측해 작업중지를 활용하도록 장비 사용 및 고소 작업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한 교육과 정보 제공 등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장비‧설비, 현황‧정보 등 관련 컨텐츠를 제작해 SNS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공유하며 근로자들이 언제 어디서든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