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지투파워, ‘액침냉각' 적용 차세대 ESS 개발 나선다…"2026년 조기 상용화 가능"

"ESS 스마트그리드 핵심 요소…. 신재생에너지 중심 역할 할 것"

박기훈 기자 | pkh@newsprime.co.kr | 2024.06.03 08:57:29
[프라임경제] 스마트그리드 전문기업 지투파워(388050)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정부과제 '수냉식 액침 적용 리튬이온전지 패킹 및 안전제어 강화기술' 연구개발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지투파워 CI. ⓒ 지투파워

지투파워를 연구개발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이번 과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수냉식 액침 적용 리튬 이차전지 패킹 및 안전제어 강화기술'에 대한 연구과제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을 전문기관으로 하는 '2024년도 에너지 기술개발 사업'이다. 

지투파워가 실증 기관과 함께 약 3년간 총 연구개발비 113억원으로 진행하는 대규모 국책 프로젝트이다.

ESS는 에너지의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솔루션이다.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전력산업 전반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매년 전세계적으로 시장 규모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ESS는 배터리방식이다. 따라서 리튬이온, 망간, 니켈, 카드뮴 등의 화학적 반응을 이용해 전력을 저장한다. 열화반응으로 화재위험이 높고, 안정성에 치명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투파워가 수주한 정부 과제 '수냉식 액침 적용 리튬전지 패킹 및 안전제어 강화기술'은 리튬이온 배터리 방식의 취약한 화재 위험을 비전도성 액체에 배터리를 담가 불이 나지 않고 열을 식히는 액침 냉각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ESS 안전 강화 기술로 세계적인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이번에 수주한 연구과제의 목표는 액침 냉각기술을 이용해 각종 리튬이온 배터리 및 인증·표준에 적용가능한 지능형 고안전 ESS의 랙(모듈)·뱅크·EMS 기술개발 및 성능평가다. 또한 2026년까지 연구·기술 개발 및 공인시험 및 실증을 진행하고 2027년에 제품 상용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지투파워 관계자는 "개발·상용화 일정을 앞당겨 2026년 말에 제품 출시가 조기 달성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한편 글로벌 ESS 연간 시장규모는 2022년 152억 달러에서 2030년 395억 달러로 보급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며, 리튬이온 배터리를 활용한 ESS가 전체 시장에서 90%에 가까운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동준 지투파워 총괄연구책임자이자 부사장(CTO)은 "그동안 축적해온 ESS 화재예방 기술과 상태감시진단(CMD)·인공지능(AI) 기술 기반의 차세대 액침 냉각 ESS 기술을 조기에 상용화함으로써, 미래 전략 사업인 배터리 재사용 사업을 포함해 본격적인 글로벌 ESS시장 진출의 청신호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네티즌 의견

[그림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 300자 이내 / 현재: 0 자 ] ※ 사이트 관리 규정에 어긋나는 의견글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현재 총 ( 0 ) 건의 독자의견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