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생성형 AI 열풍이 확산되는 가운데 한국의 직장인들은 저연차 직장인일수록 업무에 '생성형AI' 활용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의 생성형AI 활용 경험 설문조사 결과 ⓒ 인크루트
HR테크 기업 인크루트(대표 서미영)가 직장인 667명을 대상으로 '직장인의 생성형AI 활용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한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먼저, 생성형AI를 이용한 적이 있는지 물어봤다. 응답자의 46.3%가 이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연차별로 교차분석했는데 1~3년차(28.2%)가 이용 경험이 가장 많았다. 이어 △4~6년차(15.9%) △7~9년차(12.0%) 순이었다. 가장 이용 빈도가 낮았던 연차는 △15~17년차(5.5%)였다.
이용한 서비스는 처음 출시된 생성형AI 서비스 챗GPT(87.7%)가 가장 많았고 △구글 바드(13.9%) △네이버 클로바X(13.6%) △뤼튼(12.0%)순으로 나타났다.
생성형AI를 어디에 활용했는 지에 대해서는 △업무활용(61.5%) △정보검색(52.8%)의 활용도가 가장 높았고 △이직 서류 작성(34.3%) △문서 작성(21.7%)을 꼽았다.
생성형AI 이용에 만족도는 △매우 만족(18.8%) △대체로 만족(71.2%) △대체로 불만족(9.4%) △매우 불만족(0.6%)으로 응답자 10명 중 9명(90.0%)이 만족했다.
만족한 이들에게 그 이유를 들어봤다. 그 결과 원하는 정보를 빨리 찾을 수 있어서(42.8%)와 글, 음악 등 비숙력된 부분에 대한 결과물 생성에 도움이 되어서(23.4%)가 있었다.
반면, 불만족한 이들은 부자연스러운 부분이 너무 많아서(41.9%)와 원하는 답을 주지 않아서(25.8%)를 이유로 들었다.
본인의 직무가 생성형AI 활용도가 높은지 물어봤다. 그 중 '높다'고 답한 비율이 높은 직무는 △디자인(76.5%) △인터넷·IT·통신·모바일·게임(57.4%) △마케팅·광고·홍보·조사(53.3%) 순이었다. 반면 비율이 낮은 직무는 △무역·영업·판매·매장관리(19.6%) △재무·회계·경리(23.1%) 등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생성형AI의 발달이 일자리 감소에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는지 들어봤다. △매우 크다(13.8%) △대체로 크다(48.6%) △대체로 적다(29.7%) △거의 없다(7.9%)로 62.4%가 영향이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