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인공지능 전문기업 와이즈넛(대표 강용성)은 지난달 29일 '2024 산업지능화컨퍼런스'에 참여해 제조업에 적용될 수 있는 생성형AI 기술을 제안했다고 3일 밝혔다.

김정민 와이즈넛 Global전략사업본부장은 "와이즈넛은 생성형 AI에 적용해 제조현장의 생산성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와이즈넛
와이즈넛은 △제조지능화 △데이터플랫폼 △디지털 트윈으로 나뉜 컨퍼런스 세션 중 데이터플랫폼 영역에서 '제조업의 생성형AI 적용 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발표를 맡은 김정민 와이즈넛 Global전략사업본부장이 맡았다. 김 본부장은 "제조 분야 내 AI 기술 도입 시장이 2023년 31억 9300만달러에서 2028년 208억 7300만 달러로 연평균 45.6%의 가파른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지만 실제 제조AI 도입에 필요한 구조화된 양질의 데이터가 부족하고, 전체 데이터의 90%가 다크데이터로서 활용되지 않고 버려지고 있는 시장 현황"이라고 설명했다.
김 본부장은 "이러한 데이터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비즈니스 경쟁력의 주체가 될 다크데이터를 최적의 정보이자 인사이트로 활용하는 기술을 와이즈넛은 지속 연구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김 본부장은 "생성형AI 모델에 △텍스트 △이미지 △영상 △음성 등 이종 데이터간 관계성을 추론해 텍스트 등 다양한 포맷으로 생성이 가능한 멀티모달(Multi-Modal) RAG(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검색증강생성) 기술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를 통해 공급망 관리, 제조, 고객서비스 등 전체 제조 분야의 밸류체인 과정에서 해당 기술이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실제 제조업에서 데이터로 인해 발생하는 이슈와 제조 현장의 인공지능 전환(AX) 사례를 살펴봤다. 제조분야에 생성형AI를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과 향후 기대효과까지 폭넓게 제시해 현장 참관객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김 본부장은 "현장의 적극적인 분위기를 통해 생성형AI를 접목한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얻기 위한 제조 산업 내 뜨거운 열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와이즈넛은 제조분야의 전 과정에서 휴먼노하우를 디지털화하고 이를 생성형 AI에 적용해 제조현장의 생산성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