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난달 아파트 분양 물량이 2023년 2월 이후 가장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전국에 공급된 일반분양 아파트는 3751가구에 불과했다. 이는 2023년 2월(2725가구) 이후 약 2년 만에 가장 적은 물량이다. 전월(9435가구)대비로는 60% 이상 급감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경기·인천·광주·대전·울산·강원·경남·경북·전남·제주 11개 지역에서 분양 물량이 없었다. 특히 경기 지역에서 물량이 없었던 건 2016년 1월 이후 108개월 만이다. 서울도 2023년 2월 이후 23개월 만에 분양이 없었다.
가장 분양 물량이 많은 지역은 1322가구를 기록한 충남이며, 그 뒤를 △전북(836가구) △부산(551가구) △대구(418가구) △충북(313가구) △세종(311가구) 등이 이었다. 세종에 분양 물량이 나온 건 2022년 12월 이후 25개월 만이다.
이처럼 분양물량이 크게 감소한 건 비상계엄 선포(12월3일) 이후 현재까지 이어지는 '정치적 이슈'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사회 분위기가 불안정해지면서 주택 수요는 물론, 건설사 등 공급자도 불안감 때문에 사업장 일정 연기가 불가피했다는 것이다.
실제 12월 분양 예정이던 '대전 롯데캐슬 더퍼스트' 등은 일정을 2월 이후로 미룬 바 있다.
아울러 설 연휴도 분양 물량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2월에는 전국 각 지역에서 1만2712가구(임대 제외 총 가구수)가 분양을 추진한다. 조합원 물량 등을 포함한 1월 가구수(6672가구)와 비교해 2배 많은 수치다.
업계 전문가는 "12월과 1월 분양을 준비한 다수 사업장들이 일정을 미룬 만큼 2월에는 비교적 많은 물량이 예정된 상황"이라며 "다만 아직 탄핵정국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에서 추가 일정 연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정확한 물량을 판단하기엔 이르다"라고 바라봤다.
이런 가운데 2월 분양을 추진하고 있는 단지에 대한 수요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우선 롯데건설이 대전 동구 가오동에 지하 2층~지상 33층 10개동 전용면적 59~120㎡ 952가구 규모 '롯데캐슬 더퍼스트'를 공급한다.
대전에 공급되는 첫 번째 롯데캐슬 브랜드 아파트라는 점에서 많은 지역민 관심을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대전 최초 스카이라운지·스카이게스트하우스가 도입될 뿐만 아니라 지역 최고 수준 커뮤니티 시설을 갖출 계획이다.
DL이앤씨(375500)는 대구 동구 신천동에 지하 5층~지상 24층 4개동 79~125㎡ 322가구 규모로 이뤄진 'e편한세상 동대구역 센텀스퀘어'를 제시한다.
단지는 대구 지하철 1호선을 비롯해 KTX·수서고속철도(SRT)·대경선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동대구역 건너편에 들어선다.
동부건설(005960)은 울산 남구 신정동에 지하 3층~지상 35층 4개동 368가구 규모 '문수로 센트레빌 에듀리체'를 선보인다. 울산 남구에서는 첫 공급되는 센트레빌 브랜드 아파트로, 모든 가구가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84㎡로 구성되는 게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