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숏폼] 윤석열 '하야 폭탄' 터지나…김건희 출국·극우 선동설 수면 위로

조갑제 "정치적 희생양 프레임, 사법 리스크 해결 카드"

이수영 기자 | lsy@newsprime.co.kr | 2025.02.14 12:59:20



[프라임경제]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결론이 나오기 전 전격적으로 하야할 수도 있다는 설이 퍼지고 있다.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는 지난 12일 '최보식의 언론' 기고문에서 윤 대통령이 이승만 전 대통령의 4·19 혁명 당시 하야 결단을 참고할 수 있다며, 하야 시 정치 지형이 급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윤 대통령이 하야를 결단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출마 포기 압박이 최대치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동시에 국민의힘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고, 법원에서 내란죄 혐의 재판을 불구속으로 진행할 가능성도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의 하야 선언이 단순한 결단이 아니라, 극우 세력 결집 및 가족 해외 도피와 연결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현재 김건희 여사는 출국금지 조치 없이 민간인 신분이다. 모친 최은순 씨 역시 가석방 상태로 해외 출국이 가능하다.

만약 윤 대통령이 하야를 선언하는 동시에 가족이 해외로 출국한다면, 김건희 여사의 공천 개입(국정농단) 의혹 및 최은순 씨의 양평 고속도로 특혜 의혹, 세관 마약수사 외압 의혹 등 핵심 수사가 무산될 위험이 크다.

또한 윤 대통령이 하야를 '정치적 희생'으로 포장해 극우 세력을 자극할 경우 조기 대선 국면이 극심한 사회적 혼란으로 치달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조 대표 역시 기고문에서 "헌재의 탄핵결정을 둘러싼 국론 분열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며 하야가 극우 지지층을 결집시키는 계기가 될 것임을 시사했다.

한편 법조계에서는 윤 대통령이 하야 해도 사법처리 수순을 피할 수 없는 만큼 김 여사 등에 대한 출국금지 조치가 선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국회 또한 조기 대선이 극우 선동에 휘둘리지 않도록 신속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윤 대통령의 하야와 극우 선동, 가족 해외 도피 가능성 등이 맞물리면서 조기 대선 정국이 한층 더 격화될 전망이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첨부파일
첨부파일 shm_1739496720.txt / 453 바이트


네티즌 의견

[그림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 300자 이내 / 현재: 0 자 ] ※ 사이트 관리 규정에 어긋나는 의견글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현재 총 ( 0 ) 건의 독자의견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