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반도체 현장 찾는 국민의힘, 첨단기술 의제 선점 박차

"반도체 특별법에 주 52시간 예외 포함해야"…전날 당정협의회서 AI 경쟁력 강화 추경 건의

김정후 기자 | kjh@newsprime.co.kr | 2025.02.19 11:29:21

19일 국민의힘이 전날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당정협의회를 연데 이어 반도체 산업 현장을 찾는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여당 국민의힘이 전날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당정협의회를 연데 이어 반도체 산업 현장을 찾는다. 반도체 특별법 처리를 두고 야당을 압박하는데 더해 첨단기술 관련 의제도 선점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국민의힘에 따르면 권성동 원내대표는 19일 경기 성남시 텔레칩스 판교사옥에서 '반도체 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현장 간담회'를 개최한다. 

권 원내대표는 연구개발 현장을 방문한 후 반도체협회·산업계·관련 학계 인사들과 반도체 특별법 제정 등 산업 위기 극복 방안에 대해 토론할 예정이다. 국민의힘 지도부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여당 의원 일부도 참석한다.

이들이 현장을 찾는 이유는 반도체 특별법 처리를 두고 야당에 압박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여야는 지난 17일 산자위 법안심사소위에서 반도체 특별법 관련 심사를 진행했으나 주 52시간 근로제도 예외 조항 관련 이견을 좁히지 못해 처리가 불발됐다.

이에 권 원내대표는 전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당정협의회'에서도 주 52시간 근로제도 특례 포함을 강조했다.

그는 "주 52시간 예외가 담긴 반도체 특별법의 조속한 통과가 필요하다"며 "주 52시간 예외 없는 반도체 특별법은 특별법이라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반도체와 AI를 발목 잡는 민주당은 도대체 누구를 이롭게 하려는 것인가"라며 "지금이라도 국익과 미래세대를 위해 한국 공당으로서 역할을 다하길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여당은 반도체뿐만 아니라 AI, 2차전지, 바이오 등 첨단기술 경쟁력 강화에 있어 지속적으로 메시지를 내고 있다. 

당정협의회에서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AI,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 등 국가 첨단 전략기술을 연구하는 대학 학과의 학생들을 위해 획기적인 장학제도를 도입하고, 중장기적으로 무상교육을 시행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당정은 필요할 경우 해외유학을 떠나는 인재를 대상으로도 무상교육을 지원할 계획이다. 김 의장은 "국내 산업에 일정 기간 종사한다는 조건으로 무상교육을 실시할 것"이라며 "필요하다면 해외유학 지원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구매 확대 지원에도 나선다. 민·관 협력을 통해 고성능 GPU 1만장을 확보해 국가 AI 컴퓨팅 센터 서비스를 조기에 개시하고, 내년 상반기까지 기존 2000장이던 최첨단 GPU 보유량을 2만장으로 10배 확충한다. 

이에 더해 AI 컴퓨팅 인프라를 10배 늘린다. 세계적 수준의 AI 모델 개발 및 AI 스타트업 펀드 성장 지원 등을 포함한 국가 AI 역량 강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추가경정예산도 편성할 계획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여당 간사인 최형두 의원은 "여야가 합의한 AI 인프라 확충 예산 1조2000억원에 더해 8000억원을 추가해 총 2조원 정도가 필요하다"며 "AI 인프라 강화를 위한 정부의 예산 결정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