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위원장 김한길, 이하 통합위)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7차 전체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그동안 통합위가 추진해 왔던 사회적 약자 보호와 양극화 해소 방안 등의 논의를 평가하는 한편 앞으로도 우리 사회에 내재된 갈등과 상처를 치유하고 국민통합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통합위는 사회적 관심이 높고 영향력도 큰 아젠다를 다룬 만큼 정책 반영률도 해당 부처에서 80% 정도에 달한다. ⓒ 통합위
김한길 통합위 위원장은 "통합위는 지난 2년 반 동안 사회적 약자의 보호, 소외된 이웃에 대한 배려, 양극화 해소 등 모두 42개의 과제를 수행해 왔고, 공식 회의만 1700회를 넘겼다"며 "이런 성과는 정부 내 어떤 부처, 다른 위원회와 비교해도 결코 뒤지지 않는 결과"라고 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국민통합과 국가 발전에도 실질적인 기여를 해왔다고 자부한다"며 "우리가 해온 일들은 국민통합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들이었고, 미래의 지속 가능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과제인 만큼 끝까지 잘 해내야 된다"고 말했다.
또 김 위원장은 "국민통합은 특정 정파나 진영의 문제가 아닌 우리 대한민국이 존속하는 한 끊임없이 고민하고 다가가야 할 시대적 과제"라며 "국민통합은 부단히 끊임없이 추구해야 할 숙제이고 그러면서 결코 완성될 수 없는 과제라는 점에서 국민통합위원회와 같은 기구는 항구적으로 그 역할을 이어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해 9월 출범한 제3기 통합위는 '공감·상생·연대'를 핵심 가치로 삼고 양극화 해소, 사회적 약자 지원뿐 아니라 기후 불평등 대응 등 미래 세대가 직면할 새로운 갈등 요소까지 폭넓게 의제로 다루고 있다.
특히 우리 사회에 심화되는 소득 격차를 완화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을 포함한 실질적인 정책 대안을 마련 중이며, 청년층이 안정적으로 사회에 진출할 수 있는 '청년의 자산 양극화 완화방안'도 구체화하고 있다.
아울러 통합위는 앞으로 관련 논의를 심층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통합위가 마련한 정책 제안과제를 중심으로 공개 토론회를 개최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하고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안을 도출할 방침이다.
김 위원장은 "사회적 약자 보호, 양극화 해소 등은 이념과 진영에 관계없이 국민통합에 꼭 필요한 일이며, 미래 지속 가능한 통합 기반을 마련하는 일"이라며 위원들에게도 사명감을 갖고 최선을 다해줄 것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