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中·日에 총구 겨눈 철강업계, 입장 엇갈리는 까닭

'열연 반덤핑'에 "규제 필요" vs "가격 경쟁력 하락"…무역 갈등 우려↑

조택영 기자 | cty@newsprime.co.kr | 2025.03.06 16:09:03
[프라임경제] 정부가 중국산 후판에 이어 중국·일본산 열연강판 반덤핑 조사에 착수했다. 중국과 일본의 저렴한 열연강판이 국내에 유입돼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는 현대제철(004020)의 반덤핑 제소에 따른 것이다. 다만 업계의 이해관계가 복잡해 입장이 엇갈리는 상황이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중국·일본산 탄소강·합금강 열간압연 제품에 대한 덤핑 사실과 국내 산업 피해 유무 조사에 착수했다. 이는 현대제철이 작년 12월 산업부 무역위원회에 관련 조사를 신청한 데 대한 조치다. 연내 예비조사와 본조사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열연강판은 철강 판재를 고온 가열한 후 밀고 눌러 얇게 펼치는 압연 공정을 거쳐 만든 강판이다. △조선·해양 선박의 외판 및 내부 구조물 △자동차 차체 프레임 △건설·건축용 철근과 H빔 등에 사용된다.

현대제철에서 생산하는 열연 제품. ⓒ 현대제철

중간재 역할을 하다 보니 철강업계 내부에서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있다. 현대제철은 국내 철강 생태계를 보호하려면 수입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동국제강(460860) △세아제강(306200) △KG스틸(016380) 등 제강사는 열연강판을 활용해 △도금강판 △컬러강판 △강관 등을 만들어 반덤핑 관세에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관세가 붙으면 재료비 부담이 높아져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도금·컬러강판도 반덤핑 관세 대상이다. 최근 동국씨엠(460850)이 반덤핑 제소를 하기로 결정해서다. 동국씨엠은 세아씨엠, KG스틸 등 동종업계와 협력해 이르면 3월 말 반덤핑 제소를 신청할 계획이다. 

열연강판에 대한 반덤핑 관세 절차가 개시되면 이를 회피하려는 중국 업체들의 꼼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됐다. 중국 업체들이 열연강판에 도금, 코팅 등 최소한의 후가공만 한 뒤 도금·컬러강판류로 바꾸면 반덤핑 관세를 피해 한국 시장에 저가 제품을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런 '도미노식' 반덤핑 제소가 국가 간 무역 갈등으로 번질 수 있다는 점이다. 과거 중국은 자국 철강 제품에 미국과 유럽연합(EU)이 반덤핑 조치를 부과하자 보복 관세로 맞선 전례가 있다. 일본 역시 보복 규제를 언급하기도 했다. 또 업계 내부 갈등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잇따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상대국의 보복으로 이어질 경우, 업계 전체가 지금보다 더 어려워질 수 있다"며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시점이다"라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네티즌 의견

[그림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 300자 이내 / 현재: 0 자 ] ※ 사이트 관리 규정에 어긋나는 의견글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현재 총 ( 0 ) 건의 독자의견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