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서비스, 시작부터 글로벌이어야 한다' 정책토론회가 1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됐다.@조국혁신당 이해민 의원실
[프라임경제] 조국혁신당 이해민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한민수 의원이 공동 주최한 'AI 서비스, 시작부터 글로벌이어야 한다!' 국회 정책토론회가 1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토론회는 국내 인공지능(AI) 서비스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이번 토론회에 참석한 각계 전문가들은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한국이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특히 올해 AI 산업 발전의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이라는 전망과 AI 서비스 기업들이 초기 자본과 기술 부족으로 겪는 '데스밸리'를 극복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이 절실하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김진우 프리즘투자자문 AI 연구소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안재만 베슬 AI 대표이사(CEO) △장정식 야놀자 클라우드 최고기술책임자(CTO) △김효 네이버 이사가 각각 △AI 인프라 구축 △글로벌 시장 성공 전략 △기술·서비스 경쟁력에 대해 발표했다.
안재만 CEO는 실리콘밸리 진출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기업들이 해외 진출에서 겪는 어려움과 필요한 지원책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가올 범용 인공지능(AGI) 시대에는 수십 개의 모델과 에이전트가 협업하는 AI 오케스트레이션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AI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개별 기술뿐만 아니라 인프라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장정식 CTO는 자체 데이터와 글로벌 표준 플랫폼의 시너지를 통해 야놀자가 글로벌 여행 테크 기업으로 성장한 사례를 소개했다. 또한 글로벌 시장 확장을 위해 초기 개발 단계부터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효 이사는 원천 기술 개발만큼 오픈소스 생태계와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오픈소스 생태계와의 협력 방안을 구축하는 것도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공진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장은 △AI 원천기술 개발 △AI 프론티어랩 구축 △AI 혁신 펀드 조성 등 정부의 다양한 정책을 소개하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추진 의지를 전했다.
마지막으로 이해민 의원은 "시작부터 글로벌을 목표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정책·입법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한민수 의원도 "AI 서비스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중심의 AI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입법과 예산,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