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CJ대한통운 '매일 오네' 식품·패션 셀러 대거 유입

'끊김없는 배송'으로 식품 변질 우려↓…재고 관리 도움·도착지연 우려 해소

노병우 기자 | rbu@newsprime.co.kr | 2025.03.12 09:10:26
[프라임경제] CJ대한통운(000120)이 올해 도입한 '매일 오네(O-NE)'가 생활소비재 및 패션 셀러들로부터 큰 관심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 배송으로 소비자가 트렌드에 민감한 의류를 비롯해 식품 등 생필품을 언제 어디서나 받아볼 수 있게 되면서 차별화된 배송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셀러가 늘어난 결과로 분석된다.

CJ대한통운은 자체 집계결과 올해 1~2월 유치한 신규 고객 가운데 식품 셀러 비중이 24.7%로 가장 높았다고 12일 밝혔다. 이어 생활용품, 건강기능식품 등이 포함된 생활·건강 카테고리 신규 셀러 비중은 23.7%로 두 번째로 큰 비중을 기록했다.

소비재 셀러의 대거 유입 배경에는 '끊김없는 배송'이 꼽힌다. CJ대한통운은 올해 1월5일부로 일요일과 공휴일에도 택배를 받을 수 있는 매일 오네 서비스를 개시했다. 과거에는 일요일, 공휴일 포함 연간 70일 가량은 택배를 받을 수 없었지만, 매일 오네 도입으로 언제든 배송서비스가 이뤄져 셀러는 판매기회 확대를, 소비자는 구매 선택권 확대 효과를 보고 있다.

매일 오네 캠페인 이미지. ⓒ CJ대한통운


특히 식음료는 매일 오네 효과를 가장 크게 누릴 카테고리다. 매일 오네 개시 전 택배서비스는 주 6일(월~토)만 이용이 가능해 품질 민감도가 큰 식품류는 배송이 멈추는 일요일로 향할수록 주문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었다. 

하지만 매일 오네 도입으로 소비자들이 신선식품도 언제든 받아볼 수 있게 되면서, 식품 셀러는 판매일수 확대뿐 아니라 재고 관리에도 도움을 얻게 됐다.

패션 셀러들 역시 매일 오네 도입에 적극적이다. 1~2월 CJ대한통운을 신규 파트너사로 선정한 패션 셀러 비중은 20.6%로 식품, 생활·건강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매일 배송의 보편화로 도착지연 우려가 해소됨에 따라 여가시간인 주말 및 공휴일 등에 패션상품 주문량이 확대될 거라는 기대감이 반영됐다.

1년 전 대비 신규 셀러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카테고리는 △직구(13%) △디지털·가전(8%) △식품(7%) 순으로 집계됐다. 직구의 경우 매일 오네를 통한 리드타임 축소를, 디지털·가전 셀러는 높아지는 온라인 비중에 더해 CJ대한통운과의 협업으로 주말 판매를 늘릴 수 있다는 점이 주효했다.

윤재승 CJ대한통운 O-NE 본부장은 "매일 오네 서비스를 선택하는 고객사가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다"라며 "고객의 배송경쟁력 제고와 함께 소비자들에게는 최상의 쇼핑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네티즌 의견

[그림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 300자 이내 / 현재: 0 자 ] ※ 사이트 관리 규정에 어긋나는 의견글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현재 총 ( 0 ) 건의 독자의견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