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위브더제니스 평내호평역 N49 근접투시도. Ⓒ 두산건설
[프라임경제] 탄핵정국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에도 역대급 공급 부진이 이어지면서 주택 공급 감소세가 뚜렷하다. 특히 2월 분양 물량은 최근 6년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분양평가 업체 리얼하우스가 청약홈 자료를 집계한 결과, 2월 전국 민간 아파트 분양 물량은 3704가구다. 이는 전월(3497가구)과 비슷한 수준으로, 2020년 집계 시작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무엇보다 과거 2월 분양 물량과 비교했을 때 확연한 감소세를 확인할 수 있다. 분양 물량이 가장 많은 전년동기(2만660세대)대비로는 1/5 수준으로 급감했다. 2023년과 비교해도 절반 수준에 불과하고, 2020년 이후 2월 평균 분양 물량(1만1750세대)와 비교하면 1/3 수준이다.
최근 공급 물량 추이를 보면 지난해 △11월 1만7148가구 △12월 1만4114가구 공급된 이후 급격히 감소했다. 실제 올해 1~2월 전국 민간 아파트 분양 물량은 22개 단지 7201가구 공급에 그쳤다. 2020년 이후 월 평균 공급(1만5345가구) 절반도 안 된다.
공급 부진은 '전통 분양 성수기' 3월에도 이어지고 있다.
전국에서 3월 첫째 주 모집공고를 낸 단지는 한 단지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탄핵시국(4월) 이후로 분양을 잡고 있는 단지가 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현대건설은 경기 의정부에서 2월 공급 예정인 '힐스테이트 회룡역 파크뷰' 일정을 4월로 연기했다. 한화 건설부문·포스코이앤씨 컨소시엄 '고양 더샵포레나 원와이든'도 4월 분양 예정이다.
두산건설이 경기 남양주시 평내동 일원에서 진행하는 '두산위브더제니스 평내호평역 N49' 역시 4월에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다. 548가구 듀모 아파트와 상업시설을 갖춘 동시에 평내호평역(경춘선)이 도보 2분 거리에 위치한 초역세권 단지다.
관련 업계에서는 예전과 달리 3월 하순 이후 아파트 공급 일정이 본격적으로 드러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판결에 따라 불확실성이 해소된 이후로 계획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사실 정치 상황에 따라 청약 흥행을 좌우하는 정책이나 지원이 확연히 달라진다. 기본적으로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 그리고 현 시장 진단과 경기 활성화 방법, 공급 확대 방법 등 세부 계획이 다르다.
특히 서울 강남권 중심 '재건축' 또는 강북 중심 '재개발'시 서울 및 인근 도시 거래 분위기를 자극하기 쉽다. 실제 최근 서울 강남 중심 집값 상승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주변으로 집값 상승이 확대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분양가 상승을 바라보는 시각도 확연히 다르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평가팀장은 "탄핵 정국이 해소된 이후 어느 쪽이 집권하든 수도권 중심 집값 상승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공공 부분 공급 확대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서울 및 인접 지역 공급 확대가 사실상 힘들다는 점을 감안하면 수도권 주택 공급 부족 이슈가 꼬리표처럼 따라다닐 것"이라며 "다른 쪽은 정비사업 추진에 따라 수도권 집값을 단계적으로 자극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