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국민 70% "지난해보다 가계 형편 어려워져"…'물가 상승' 때문

응답자 64.2% "내년에도 더 힘들어질 것" 예상

배예진 기자 | byj2@newsprime.co.kr | 2025.03.20 16:16:40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국민 10명 중 7명이 '올해 가계 형편이 지난해보다 나빠졌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 원인으로 '물가 상승'을 꼽았다.

20일 한국경제인협회에 따르면,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 71.5%는 '가계 형편이 1년 전보다 악화했다'고 답했다. 반대로 '개선됐다'는 답변은 28.5%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1일부터 27일까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온라인 패널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3.09%포인트다.

가계 경제가 얼마나 악화했는지에 대한 물음에는 '20~30% 악화'가 응답자 26.4%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0~10% 악화(23.2%) △10~20% 악화(21.5%) △0~10% 개선(18.5%) 순으로 응답했다. 구간별 중간값 기준으로 계산하면 평균 7.7% 가계 경제가 악화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응답자 71.9%는 경제 악화의 원인으로 '물가 상승'을 이류로 꼽았다. 물가가 가장 크게 오른 부문으로 식료품·외식비가 72%로 과반수를 차지했다. 뒤이어 △실질 소득 감소(11.9%) △일자리 부족·불안정(9.5%) 순이었다. 일자리·사업 안정성에 대해서는 43.1%가 불안정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그렇다면 내년도 전망은 어떨까? 응답자 64.2%는 내년도에는 가계 형편이 더 악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개선될 것으로 보는 응답자는 35.8%였다. 아울러 소득과 지출에 관해서도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내년에 소득은 줄고 지출은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국민들은 물가 안정 정책에도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생필품 가격 안정화(58.4%) △에너지 가격 안정(13.9%) △취약계층 선별 지원(9.7%) △소비 관련 세금 감면(7.9%) 순으로 꼽혔다. 가계부채와 관련해서는 △가계부채 증가 요인 해소 정책 강화(41.1%) △부동산 시장 안정화(31.6%) △취약계층 부채상환 지원(13.0%)이 뒤를 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장기간 경기침체와 고물가로 국민의 가계 형편이 어려워지고 있다"며 "기업 투자·고용 확대를 유도하고 먹거리 물가안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네티즌 의견

[그림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 300자 이내 / 현재: 0 자 ] ※ 사이트 관리 규정에 어긋나는 의견글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현재 총 ( 0 ) 건의 독자의견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