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충청남도가 전기차를 넘어 다양한 산업 분야로 수요가 확대되는 이차전지를 미래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24일 충남도는 당진에 위치한 리튬전지 생산업체인 비츠로셀에서 제4차 경제상황 현장 점검회의를 개최 후 단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충남도
24일 충남도는 당진에 위치한 리튬전지 생산업체인 비츠로셀에서 제4차 경제상황 현장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김태흠 지사와 도내 이차전지 기업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차전지 산업의 현황과 지원 계획이 논의됐다.
도는 서산·당진을 UAM 중심의 차세대 배터리 연구개발 거점으로, 천안·아산에는 전기차 중심의 지능형 배터리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보령·홍성·부여 지역은 친환경 배터리 재사용 및 자원순환 중심지로 조성한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총 650억원을 투입, 이차전지 산업의 핵심 거점을 구축하고 다양한 기술 지원 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

24일 충남도는 당진에 위치한 리튬전지 생산업체인 비츠로셀에서 제4차 경제상황 현장 점검회의를 개최 후 단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충남도
경제동향분석센터는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이차전지 활용 분야는 전기차 배터리는 물론, ESS와 UAM, 드론 등 전 산업으로 확대되며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전략적인 지원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이차전지는 충남의 미래 전략 산업"이라며, "배터리 삼각거점을 구축해 충남 이차전지 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기술 실증과 평가 지원, 폐배터리 재사용과 같은 사업을 하고 있는데, 정부 공모 사업을 적극 확보하고, 도 자체 지원책도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충남은 그동안 기업 활성화 및 산업 기반 구축, 특화단지 조성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2023년 기준으로 충남의 이차전지 산업은 전국 3위 규모로, 핵심 및 연관 사업체 수가 316개, 종사자는 1만1152명으로 전국 3위 규모에 달하며, 이차전지 분야에서 높은 성장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