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매년 고공 성장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시장. 이에 자산운용업계 시장 선점 경쟁도 치열하다. 'ETF줍줍'은 매일 쏟아지는 ETF 업계 최신 뉴스를 모은 브리핑 코너다. 최신 시장 동향·투자 전략·전문가 분석까지 한번에 전달한다.
25일 △삼성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 △NH-Amundi자산운용 ETF 뉴스.

삼성자산운용은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ETF가 25일 상장한다고 밝혔다. ⓒ 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아시아 최초 '버퍼형 ETF' 상장
삼성자산운용은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ETF가 25일 상장한다고 밝혔다.
이 상품은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에 투자하면서 옵션을 활용해 아웃컴기간 종료일 기준 약 10% 수준의 하락을 완충(달러 기준)을 목표로 한다. S&P다우존스가 작년 9월 발표한 'S&P500 10% 버퍼 인덱스 시리즈'를 비교 지수로 활용한다.
S&P500지수가 하락할 경우 손실을 완충할 수 있는 '버퍼(buffer)'를 1년 만기 옵션으로 구축한다. 매년 3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1년 만기 옵션을 매매해 약 -10%까지 하락을 완충(달러 기준)시키는 버퍼(buffer)를 만든 게 특징이다.
버퍼를 설정하는 데 드는 비용을 콜옵션을 매도해 충당하기 때문에 캡(cap·최대 상승폭)은 제한된다. 삼성자산운용은에 따르면 캡은 16.4%(달러 기준)로 결정됐다. 매년 옵션이 롤오버(청산 후 재투자)되기 때문에 캡 수준은 그 비용에 따라 매년 3월 변동된다.
지난 21일(미국 동부시간) 오후 2시경 S&P500지수의 시장평균가격인 5650을 기준으로 풋옵션을 매수하고, 여기에 -10.2% 수준인 5075로 버퍼 하단이 설정됐다. 풋옵션 매수 비용을 커버하기 위한 콜옵션 프리미엄 행사가는 6575(캡 16.4% 해당)로 결정됐다.
이는 내년 3월20일에 S&P500지수가 5075~6575 사이에서 움직일 것이라고 예상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이란 평가가 나온다.
하락장에서는 S&P500지수가 5075까지 떨어져도 아웃컴기간 종료일에 손실을 0%로 완충(미국 달러 기준)을 추구한다. 상승장을 기대한다면 S&P500지수 6575까지 올라도 수익을 인식할 수 있다.
종가 기준 역대 최고가인 6147.43보다도 약 7% 높은 수준까지도 상승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 상품은 환노출형으로 최종 수익률은 원달러 환율 변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버퍼형 ETF가 추구하는 수익 구조가 1년 단위로 설정돼 있기는 하지만 주식처럼 거래되는 ETF 특성상 언제든 매매할 수 있다. 다만 옵션의 만기가 1년인 만큼 옵션의 가치가 시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매수, 매도 시점에 따라 수익 구조가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임태혁 ETF운용본부장은 "삼성자산운용은 미국에서 약 90조원까지 성장한 버퍼 ETF를 아시아 최초로 한국 투자자에게 선보인다"며 "미국 투자에 진심인 한국 투자자의 투자성향과 운용 목적을 고려한 다양한 미국투자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공급해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신한자산운용의 SOL 골드커버드콜 액티브 ETF(종목코드: 0022T0)에 개인투자자의 자금이 몰리고 있다. ⓒ 신한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 SOL 골드커버드콜 액티브 ETF 인기↑
신한자산운용의 SOL 골드커버드콜 액티브 ETF(종목코드: 0022T0)에 개인투자자의 자금이 몰리고 있다. 국내 금값과 국제 금 시세의 괴리인 '김치 프리미엄'의 해소구간에서 성과 차이가 벌어지며 금 투자자의 투자수요가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11일 출시된 SOL 골드커버드콜 액티브 ETF는 상장 이후 4 .85%의 수익률을 기록, 같은 기간 국내 금 현물 가격 상승률(3.31%)을 크게 앞섰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사업총괄본부장은 "글로벌 불확실성이 지속되며 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한 국제 금값의 상승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며 "SOL 골드커버드콜 액티브 ETF는 국제 금 가격을 추종하기 때문에 김치프리미엄 리스크에서 자유롭고 금 투자의 단점을 보완해 자본수익과 배당수익을 함께 추구할 수 있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연금투자자에게 적합하다"고 말했다.
SOL 골드커버드콜 액티브 ETF는 국제 금 가격을 90% 이상 추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면서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한 옵션프리미엄을 분배재원으로 연간 4%의 배당을 추구하는 월배당 ETF다.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를 비롯해 연금저축 및 퇴직연금(DC·IRP) 계좌에서 투자할 수 있으며 분배금 재원인 옵션프리미엄이 미국의 원천징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절세계좌에서의 과세이연 효과가 유지된다는 장점도 있다.
김 본부장은 "미국의 관세정책 이슈가 지속되고 있고, 러시아·우크라이나 휴전협상, 중동 지역의 분쟁 등 금값의 단기변동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며 "매월 지급될 월 배당금이 금 투자의 안정성을 보완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NH-Amundi자산운용의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ETF'가 연초 후 우수한 수익률을 보였다. ⓒ NH-Amundi자산운용
◆NH-Amundi자산운용,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ETF 금 테마 수익률 1위
NH-Amundi자산운용의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ETF'가 연초 후 우수한 수익률을 보였다.
NH-Amundi자산운용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ETF의 연초 후 수익률은 24.39%이다. 같은 기간 국제 금 시세(KRW)의 상승률 12.09%보다 높으며, 국내 시장에 상장된 금 관련 ETF 중 가장 높다. 6개월 수익률 22.83%, 1년 수익률 58.96%도 우수하다.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ETF이 높은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었던 배경은 금 채굴 기업 주가는 금 채굴 및 가공에 따르는 고정비 등의 요인으로 금 현물 대비 변동성이 높기 때문이다.
지난해 1월 상장된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ETF는 글로벌 금 채굴 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NYSE Arca Gold Miner Index를 기초지수로 추종한다. 미국, 캐나다, 호주, 남미 등 글로벌 금 채굴 관련 종목에 분산 투자한다.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ETF는 매분기마다 배당에 따른 분배금을 취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김승철 NH-Amundi자산운용 ETF 투자본부장은 "최근 금 가격 상승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며 "금값 상승 시 동반 상승하면서 변동성이 크고, 배당금까지 받을 수 있는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ETF 투자를 고려해 봐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