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이엠씨 특수가스 생산공장 전경. ⓒ 티이엠씨
[프라임경제] 독립리서치 밸류파인더는 26일 티이엠씨(425040)에 대해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 발생에 따른 특수가스 가격 폭등 시 포스코와 함께 특수가스 국산화에 성공한 기술력이 부각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밸류파인더에 따르면 티이엠씨는 2015년 설립, 2023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반도체 공정용 특수가스 전문 기업이다. 특수가스 제조에 필요한 합성·정제·혼합 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으며, 국책과제 수행과 종합 반도체기업(IDM) 협업을 통해 네온(Ne), 디보란(B₂H₆), CO 등 고순도 특수가스를 국산화했다.
주요 고객사로는 SK하이닉스(60%), 삼성전자(10%), 마이크론(Micron)(5%), 키오시아(Kioxia) 등을 보유 중이다. 매출액 비중은 낸드(NAND) 60%, 디램(DRAM)이 30%를 차지한다.
주요 자회사로는 반도체·이차전지 장비를 제조하는 티이엠씨씨엔에스(241790)와 손자회사인 전기차(EV) 배터리 검사장비기업 와이에이치티(YHT)가 있다.
이충헌 밸류파인더 연구원은 "최근 중국의 이구환신(以旧换新) 정책 확대와 함께 오는 4월 미국 낸드 공급사들의 가격 인상 움직임이 예고되면서 반도체 업황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낸드의 고단화와 디램의 초미세화가 진행되면서 반도체 특수가스 사용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수입 의존도가 높아 공급 불안정이 이어지면서 특수가스 국산화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돼왔다"고 짚었다.
희귀가스는 노후 제철소의 유독가스에서 얻을 수 있는 특수가스로, 국제 갈등시 공급이 불안정해지고 가격이 급등한다. 과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당시 자원의 무기화 등의 이유로 특수 가스 공급 불안이 고조됐었으며, 네온 가격은 55배 폭등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동사는 2017년부터 네온 분리·정제 기술을 확보해왔으며, 2022년 포스코와 함께 고순도 네온 생산 설비를 개발했다"며 "최근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돼 특수가스 가격 급등이 발생한다면, 동사 수혜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연구원은 "지난해 일산화탄소(CO) 가스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3공장을 완공했다"며 "삼성전자의 요청에 따른 디보란 생산 2공장 증설 완료, 2027년 용인 반도체 클러스트 인근 신규 공장 설립 추진 등은 생산능력(CAPA) 확대를 위한 선제적인 대응"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현재 동사는 경쟁사와 법적 분쟁이 진행 중이나, 디보란 생방식이 달라 기술 침해는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며 "또한 최근 포스코기술투자의 지분율 감소가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일 수 있지만 특수가스는 퀄 테스트 통과에만 최소 1년의 검증 기간이 필수이며, 포스코와 함께했던 협력은 높은 기술 진입장벽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