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 권역별 입주물량 비교 및 경기 월별 입주물량 추이. Ⓒ 직방
[프라임경제] 최근 주택시장 내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신축 아파트 희소성이 부각되는 분위기다. 이로 인해 주택 가격 상승 및 임차 시장 불안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직방 조사에 따르면, 오는 4월 입주물량은 전월(2만6337세대)대비 48% 줄어든 1만3814세대다. 수도권·지방 모두 입주 물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수도권 입주물량 감소폭이 크다.
실제 수도권은 전월(1만4590세대)과 비교해 72% 줄어든 4067세대 입주에 그친다.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각각 407세대, 1517세대가 입주한다. 특히 경기지역은 2017년 3월(1346세대)이후 가장 적은 입주물량이 공급된다.
지방 역시 전월(1만1747세대)보다 17% 줄어든 9747세대가 공급된다. 광역시 위주 총 18개 단지로 이뤄졌으며, 단지별 규모가 1000세대 미만 소규모로 구성됐다.
세부 지역별 주요 입주 예정 단지를 살펴보면, 서울은 성내5구역 재개발을 통해 지난해 7월 분양한 '후분양 단지' 그란츠리버파크(407세대)가 입주를 준비하고 있다.
경기 지역에서는 △평택 '고덕국제신도시 대광로제비앙모아엘가(1255세대)'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엘리프하이디움(262세대)'이 입주할 예정이다.
인천에서는 △서구 불로동 '신검단중앙역 풍경채어바니티 2차(1734세대)' △부평구 부평동 '부평하우스토리어반그린(160세대)' △미추홀구 주안동 '주안극동스타클래스더로얄(249세대)'이 입주 체제에 돌입한다.
지방의 경우 △광주 2392세대 △대전 1740세대 △부산 1651세대 △경남 1570세대 △경북 756세대 △충북 644세대 △대구 424세대 △충남 293세대 △전북 277세대가 입주한다.
대표 입주 단지로는 대전 중구 선화재정비촉진구역 재개발 '해링턴플레이스휴리움(997세대)'을 비롯해 △부산 강서구 강동동 'e편한세상에코델타센터포인트(953세대)' △광주 서구 쌍촌동 '상무센트럴자이(903세대)' 등이 공급된다.
올 1분기에는 7만9782세대 상당 신축 아파트가 입주했으며, 남은 2~4분기에는 분기당 5만세대 수준 물량이 공급될 전망이다.
직방 관계자는 "예년 동기간과 비교해 물량이 다소 적은 편이지만, 줄어든 물량이 수도권 외곽과 지방광역도시 중심이라는 점에서 단기적 충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전체적 공급 감소로 인해 신축 아파트 희소성이 부각되면서 주택 가격 상승과 임차 시장 불안 등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라고 분석했다.
이처럼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해당 당국이 지난 19일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에는 △서울 주요 지역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서울 도심 내 재건축·재개발 사업 속도 제고 △신축 매입약정·수도권 공공택지 조기 공급 등을 통해 주택 공급 기반을 강화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현재 '주택 공급 축소'에 대한 불안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만큼 정부가 후속 세부 방안을 얼마나 신속하게 제시할 지가 업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